목디스크, 여러 이유로 발생…젊어도 방심하지 말아야

2024.05.16 14:24:54

 

목디스크는 우리 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경추 질환의 하나다. 목 뼈 사이에 있는 디스크(추간판)이라는 조직이 손상되어 수핵이 튀어나와 목을 지나가는 신경을 압박해 심한 목, 어깨의 통증과 상지의 감각 이상 등을 유발한다. 목과 어깨가 아프고 팔, 손이 저리며 두통, 어지럼증 등이 수시로 나타난다면 목디스크를 의심해야 한다.

 

목디스크는 교통사고나 스포츠 손상처럼 갑자기 목에 큰 충격이 가해졌을 때 디스크가 손상되어 생기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특별한 사고 없이 일상의 부담이 지속적으로 쌓여 문제가 되기도 한다. 책을 읽거나 컴퓨터 모니터 등을 보기 위해 고개를 숙이거나 앞으로 내미는 자세를 하면서 경추에 가해지는 하중이 늘어나고 그 시간이 장기화 되며 경추, 어깨 주변 조직이 경직되고 경추가 변형되어 경추 뼈와 뼈 사이에 있는 디스크가 손상되는 것이다.

 

경추의 변형을 예방하여 목디스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려면 일상 생활 속에서 바른 자세를 취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옆에서 봤을 때 머리와 목, 어깨의 중심부가 일직선에 놓이도록 주의해야 하며 컴퓨터, 스마트폰 등을 이용할 때 고개를 과도하게 속이거나 내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디지털 기기를 이용한 작업 시 수시로 휴식을 취하고 목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좋다. 경추 주변의 근육, 인대와 어깨 주변 조직의 경직을 해소하여 유연성을 증가함으로써 경추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서초 서울이즈정형외과 양석훈 대표원장은 “장시간의 잘못된 자세와 생활 습관으로 인해 경추가 변형된 경우, 경추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세와 습관 교정이 필요하다. 이 단계에서 도수치료는 많은 도움이 된다. 전문 치료사가 일대일로 진행하는 도수치료는 약물 등의 이용 없이 맨손으로 잘못된 자세와 근골격계를 바로 잡아 변형된 경추를 개선하며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단순히 증상만 개선하는 것이 아니라 증상의 원인을 해소한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약물, 주사치료 등 비수술치료의 효과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C-arm 주사치료가 유용할 수 있다. 이 치료는 실시간으로 병변 부위를 살펴 볼 수 있는 C-arm이라는 특수영상 장치를 이용해 통증이 일어나는 경추 주변의 신경 조직 등을 정확히 파악하여 통증, 염증을 개선하는 약물을 주입하는 방식이다. 섬세한 정상 조직의 손상 없이 치료할 수 있어 다양한 연령대의 환자들에게 적용 가능하다”고 전했다.

 

양석훈 원장은 “유아, 어린이 시절부터 디지털기기를 접하는 요즘 사람들은 20~30대의 젊은 나이에도 목디스크가 생길 수 있다. 젊다고 해서 경추가 건강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지속적인 목과 어깨의 통증, 어지럼증, 두통 등 여러 이상 증세가 있다면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아야 한다. 한 번 발생한 디스크 질환은 자연 치유가 어렵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예후가 나빠져 일상생활이 어려워진다. 신속한 비수술치료로 경추의 손상을 막아야 한다”고 전했다.

곽동신 a1@livesnews.com
Copyright @2012 라이브팜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A1축산(주) 전화 : 02-3471-7887 / E-mail : a1@livesnews.com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로 1길 14 삼일프라자 829호 Copyright ⓒ 라이브팜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