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리를 꼬거나 허리를 구부리고 앉아 있는 자세는 척추에 큰 부담을 준다. 특히 한쪽 팔에 몸을 기댄 채 소파에 눕듯이 앉아서 스마트폰을 장시간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런 행동은 척추의 정렬을 무너뜨릴 수 있다. 이를 반복하면 디스크 탈출, 즉 허리디스크로 진행될 위험도 높아지기 때문에 항상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신경 쓰는 것이 좋다.
잠실 선수촌병원 신경외과 이동엽 원장은 “허리디스크는 주로 중장년층 이후로 발병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렇지만 업무나 학업 등으로 인해 하루의 대부분을 책상 앞에 앉아서 보내는 청소년이나 젊은 사람들에게도 허리디스크는 발생할 수 있다. 허리디스크는 유전적인 요인도 주요 발병 원인이지만 평소 자세가 바르지 못하거나 허리를 무리하게 사용하는 경우,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드는 경우 등에서도 쉽게 나타나는 편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허리디스크는 척추뼈 사이에서 쿠션 기능을 하고 있는 디스크가 제자리를 이탈하여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신경이 어느 정도 눌렸는지에 따라 허리통증 외에도 엉덩이 및 허벅지 통증, 다리 저림, 감각 저하 등의 증상도 동반된다. 경증의 환자는 약물치료 및 물리치료, 운동 요법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동엽 원장은 “만약 허리디스크에 파열이 생겼다고 해도 중증 증상이 없다면 비수술적 치료인 신경박리시술을 먼저 적용하고, 이후 약물 복용 및 물리치료를 집중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신경주사치료가 추가로 시행되기도 한다. 신경주사치료는 신경차단술과 같은 의미의 치료로서, 탈출 또는 파열된 디스크 조각의 크기를 작아지게 하거나 없어지게 하는 근본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허리디스크 치료 후에 증상이 나아졌다고 해서 바로 몸을 무리하게 움직여서는 안 된다. 치료 후 증상이 많이 나아졌다면 통증이 나타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움직이고, 허리의 상태를 꾸준히 관리해야 한다”고 전했다.
또한 허리디스크 환자는 금연을 하는 것이 좋다. 담배를 피우면 신체의 혈관들이 수축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허리디스크에 영양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허리디스크에 영양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증상이 악화되기도 하며, 치료를 진행해도 증상이 쉽게 나아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가급적 금연을 하는 것이 권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