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인천해양박물관(관장 우동식)은 소장 중인 '표류인 문순득 일기'가 인천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지정은 인천시가 올해 11월 10일자로 고시한 것으로, 인천시 지정문화유산 중 첫 해양유물이자 국립인천해양박물관 소장유물 중 최초 문화유산 지정 사례다.
그동안 인천시 유형문화유산은 근대 건축물이나 산업유물 중심으로 지정돼 왔으나, 이번 표류인 문순득 일기 지정은 해양 교류와 문화를 보여주는 유산으로 문화유산 범주를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표류인 문순득 일기는 우이도 출신 홍어 장수 문순득(1777~1847)이 1801년 홍어 거래를 위해 출항했다가 풍랑을 만나 일본 오키나와, 필리핀, 마카오를 거쳐 약 3년 2개월 만에 조선으로 귀환한 과정을 담은 필사본 ‘표해록’이다.
이는 조선 후기 최장 거리·최장 기간 표류 사례로, 단순 조난을 넘어 당시 문화·경제·외교 교류를 보여주는 귀중한 사료로 평가된다.
기존 정약전의 표해시말에서 알려진 내용 외에도, 이번 일기에는 필리핀인의 종교생활, 선박 운용 시 거중기 사용 등 새로운 정보가 담겨 문순득의 표류 경험이 훨씬 폭넓고 다채로웠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당시 사건이 역사적 기록 가치가 충분했음을 보여주는 자료로 의미가 크다.
우동식 국립인천해양박물관장은 “이번 지정을 계기로 해양문화유산의 가치를 체계적으로 발굴하고 시민과 공유하겠다”고 말했다.
표류인 문순득 일기는 현재 박물관 2층 해양교류사실에 전시 중이며, 11일부터 3층 기획전시실에서 바다 너머 세상을 본 조선 상인, 표류인 문순득 테마전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