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회, 평생교육·사회적경제 기반 ‘농어촌 청년 정착 모델’ 제시

  • 등록 2025.11.19 20:43:25
크게보기

인천 농어촌 청년정책 연구회, 청년유입·정주여건 개선 위한 정책연구 최종보고회 개최

 

인천시의회 의원연구단체 ‘인천 농어촌 청년정책 연구회’가 19일 시의회 행정안전위원회 세미나실에서 정책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농어촌·도서 지역의 인구 감소 대응을 위한 평생교육·사회적경제 기반 청년 정착 모델을 발표했다.


보고회에는 연구회 대표의원인 신영희 의원(옹진군)을 비롯해 유승분·이봉락·조현영·한민수 의원이 참석했다.


연구를 수행한 평생학습공작소의 연구진과 인천시 청년정책담당관실 관계자도 함께해 연구 성과를 공유했다.


이번 연구는 지난 7월부터 10월까지 3개월간 진행됐으며, 인구 감소 지역으로 지정된 옹진군의 청년 비율 감소와 고령화 심화, 생활 인프라 부족 등 구조적 문제를 다각적으로 분석했다.


연구회는 정책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전문가·관계기관 간담회와 영흥면·선재도 현장 방문 등을 실시해 정주환경과 청년활동 실태를 조사했다.


간담회에서는 고령화 및 인구 유출 요인, 평생학습 접근성 한계, 지역 기반 사회적경제 모델 가능성 등이 논의됐으며, 현장 조사에서는 의료·문화 서비스 접근성 부족과 청년 창업 공간 운영의 어려움 등이 확인됐다.


최종보고에서 연구진은 ▲평생교육 기반 생애설계 및 직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지역 특산물·관광·공동체 자원을 활용한 사회적경제형 일자리 모델 ▲도서 지역 특성에 맞춘 인천형 청년정책 거버넌스 구축 ▲맞춤형 평생학습 지원체계 마련 등 실질적 대안을 제시했다.


한성근 책임연구원은 “도서 지역 인구 감소는 생활여건·경제구조·교육 접근성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한 결과”라며 “평생학습과 사회적경제를 연계한 정책이 청년 정착의 지속성을 높이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신영희 대표의원은 “도서 지역 인구 감소 문제는 지역의 지속 가능성과 직결된 중요한 과제”라며 “연구 결과가 정책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시와 옹진군, 관련 부서와 긴밀히 협의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향후 인천시 청년정책 및 농어촌 정주여건 개선 정책 수립, 도서 지역 협력체계 강화, 관련 조례 검토 등에 폭넓게 활용될 전망이다.

 

연구회는 앞으로도 지역 특성을 반영한 인천형 청년정책 모델을 발전시켜 청년의 정착 기반 확보를 지속적으로 모색할 계획이다.

 

 

김선근 ksg2028@naver.com
Copyright @2012 라이브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A1축산(주) 전화 : 02-3471-7887, 010-6280-7644 / E-mail : a1@livesnews.com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로 1길 14 삼일프라자 829호 Copyright ⓒ 라이브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