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실명 부르는 녹내장, 젊은 층 환자 급증

김효영 기자  2025.09.09 10:00:00

기사프린트

 

녹내장은 3대 실명질환 중 하나로 시신경 손상에 따라 시야가 점차 좁아지면서 실명까지 이를 수 있는 질환이다. 여러 가지 이유로 시신경이 망가지면서 시력이 저하되는 녹내장은 주로 중장년층이나 노년층에게 발생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 20-30대 젊은 녹내장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녹내장은 안압이 상승하면서 생기는 안질환이다. 보통 정상 범위의 안압은 10~20mmHg 범위 안에 있는데, 이보다 높으면 고안압이라고 한다. 안압이 높을수록 시신경이 손상돼 녹내장이 발병할 위험이 더 커진다.

 

어두운 장소에서 전자기기를 장시간 바라볼 때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그 이유는 어두운 곳에서 오랜 기간 스마트폰 등을 보게 되면 동공이 커지고 수정체가 앞쪽으로 이동하면서 방수의 흐름이 방해되기 때문이다. 해당 작용으로 인해 안압이 높아지고, 노폐물을 운반하는 액체인 방수가 원활히 흘러가지 못하면서 발병 위험이 높아지는 것이다. 스마트폰 사용 외에도 근시 혹은 고도근시가 있을 경우 녹내장이 생길 확률이 높아 더욱 유의해야 한다.

 

하늘안과 망막센터장 유형곤 교수는 “녹내장의 무서운 점은 한 번 발병하면 완치가 불가능한 진행성 질환이며 실명을 초래할 수 있다. 녹내장으로 인한 시력 저하를 늦추려면 조금이라도 빨리 발견하여 약물 치료 등을 꾸준히 진행하고 경과를 관찰해야 한다. 그런데 젊은 사람들은 평소 안과를 방문하는 일이 드물고 시력이 저하되어도 이를 녹내장으로 의심하지 못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아 녹내장 조기 발견이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녹내장은 개방각, 폐쇄각 녹내장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개방각 녹내장은 서서히 진행되어 말기까지 증상이 없을 수 있다. 또한, 증상이 있다면 시야에 암점이 보이거나 말기에 이르렀을 때 시야가 좁아져 일상생활이 불편하다. 폐쇄각 녹내장은 극심한 통증이 동반되어 심한 두통, 구역질, 메스꺼움, 시력저하, 충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고 전했다.

 

유형곤 교수는 “녹내장은 초기에 발견이 됐을 때 약물치료가 가능하다. 안압을 낮추는 약물을 사용하면 추가로 진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만 약물치료로 효과가 미미하다면 레이저와 수술을 통해 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아무리 젊다 하더라도 가족력이 있거나 고도근시, 당뇨 및 고혈압 등의 기저질환이 있다면 6개월~1년에 한번씩 안과를 찾아 검진을 받아야 한다. 한번 진행이 되면 손상된 시신경이 다시 회복되기 어려워 조기에 진단해 꾸준히 치료, 관리하면 실명을 피할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