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절반 ‘부실 경고’에도 손놓은 금융당국

  • 등록 2025.09.05 19:32:25
크게보기

전북·부산·경기·대구 고위험 금고 집중…연체액 15조 넘어, 관리 사각지대 심각

전국 새마을금고 절반 가까이가 금융당국의 건전성 기준을 넘어서고 있으나, 관리·감독은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전북·부산·경기·대구 등 주요 권역에서는 부실 금고가 집중돼 지역 금융 안전망에 ‘경고등’이 켜졌다.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시을,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이 5일 행정안전부 제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 1267개 금고 중 623곳(49.2%)이 고정이하여신 비율 8%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전체 대출에서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 비중을 의미하며, 8%를 넘으면 부실 경고 기준으로 간주된다.


권역별 평균 부실채권 비율은 전북 15.3%, 부산 13.45%, 경기 11.95%, 대구 11.77%로, 모두 전국 평균(10.73%)을 크게 웃돌았다.


순고정이하여신비율 9%를 초과해 ‘위험 금고’로 분류된 비율도 높았다.


전북은 54.2%(32개 금고 중 32개)가 위험 등급에 포함됐고, 경기 44%, 부산 40.9%, 인천 31.4% 순이었다.
특히 대구에서는 전국 최악의 사례가 확인됐다.


△△금고는 부실비율 46.68%, ○○금고는 연체율 59.27%를 기록하며 각각 전국 1위를 차지했다.


전국 새마을금고 연체액은 15조 2124억원에 달했다.


지역별로는 경기 3조 8000억원, 서울 2조 8532억, 대구 1조 2981억원 순으로 집계됐다.


전국 평균 연체율 8.37%를 웃도는 지역은 부산(10.32%), 대구(9.76%), 전북(9.66%), 경기(9.48%), 인천(8.79%) 등이다.


한 의원은 “통합공시시스템 도입은 금고 정상화의 첫 단추에 불과하다”며 “부실채권 정리와 구조개선 없이는 예금자 신뢰를 회복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와 중앙회, 개별 금고가 합심해 속도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금융당국의 감독 부실과 지역별 위험 집중을 드러내며, 예금자 보호와 금고 건전성 확보를 위한 근본적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김선근 ksg2028@naver.com
Copyright @2012 라이브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A1축산(주) 전화 : 02-3471-7887, 010-6280-7644 / E-mail : a1@livesnews.com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로 1길 14 삼일프라자 829호 Copyright ⓒ 라이브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