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농어촌공사(사장 김인중)는 가뭄으로 용수 부족이 우려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영농기 안정적 농업용수 공급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공사는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작년 11월부터 대책을 수립하고 현장 대응을 이어왔다. ‘평년 대비 저수율’이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저수지에는 간이 펌프를 설치해 물을 채우고, 인근 하천에서 물을 양수해 농수로로 직접 공급하는 등 농업용수 확보에 최선을 다했다.
실제로 공사는 저수율이 평년에 비해 부족할 것으로 예측된 저수지를 대상으로 6월 말까지 127개소에 5천4백만 톤을 확보해 모내기 용수를 공급했고, 8월 말까지는 65개소에 7백만 톤 이상을 추가 확보해 공급했다.
공사의 선제 조치에 더해 전국 누적 강수량이 960.1mm(평년 대비 87.9%)를 기록하면서 평균 저수율이 65.9%(평년 대비 96.9%)로 유지됐다. 그 결과, 대부분 지역의 영농에는 큰 지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강원 강릉시를 포함한 영동지방에는 심각한 가뭄이 지속되고 있다. 누적 강수량이 평년의 46.9%인 497.4mm에 그치며, 저수율은 28.0%(평년 대비 36.6%) 수준에 머물렀다.
이에 대해 공사는 하천 굴착, 관로 매설, 간이 양수기 설치 등을 통해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특히 오봉저수지의 농업용수를 사용하는 수혜 지역에 대해서 간이 펌프 등 장비를 13개소에 설치해 하루 최대 3만 7,500톤의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한편, 공사는 9월 현재에도 가뭄 단계별 관리 기준에 따라 평년 대비 저수율이 낮은 저수지에 별도 대책을 수립·관리하고 있다. 평년 대비 70% 이하 저수지는 660개소이며, 이 가운데 관심단계(70% 이하, 60% 초과) 316개소는 상시 모니터링 중이다. 60% 이하인 주의단계 이상 저수지 344개소 중 139개소는 보조 수원 시설이며, 나머지 205개소는 주수원 시설로 하천에 간이 펌프 등을 설치해 저수지로 물을 끌어오는 방식으로 조치하고 있다.
저수율이 0인 저수지 34개소 가운데 30개소는 수혜 면적이 없거나 대체 시설이 갖춰진 용도폐지 대상이며, 나머지 4개소는 개보수, 준설 등 공사를 추진하고 있는 상태다. 이 4개소는 저수지 공사와 동시에 별도 급수 대책을 가동해 농업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앞으로 공사는 농업용수 수요·공급 실태조사 등 연구용역을 통해 중장기 대책을 마련하고, 관계 부처와의 지속적인 협의로 농촌용수개발사업, 체계재편사업, 지하수댐 등 가뭄 대응 사업 예산을 확보해 농어촌 지역의 항구적 가뭄 극복 기반을 갖춰 나갈 계획이다.
한국농어촌공사 김인중 사장은 “공사는 가뭄 속에도 농업인들이 영농을 이어갈 수 있도록 용수 공급에 모든 가용 자원을 투입하고 있다”라며, “중장기적으로도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계 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안정적인 농업용수 이용 환경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