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연구원은 10일, 올해 기획연구과제로 수행한 ‘건강 노화를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 방안’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초고령사회 진입으로 노인성 질환과 만성질환 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지자체 차원에서 건강 관련 재정 부담과 가족 돌봄 부담을 완화할 선제적 건강관리 전략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번 연구는 개인의 건강수명을 연장하고 사회적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인천 시민 설문조사 결과, 고령자 주거단지에서 필수적인 기능으로는 건강관리 및 의료 지원(56.2%)이 꼽혔고, 노년기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는 건강(99.7점)이 꼽히며 중장년층의 건강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부문에서는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 AI·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사업, 걷기 장려 어플리케이션 ‘워크온’을 활용한 보상형 건강관리사업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민간부문에서는 원격의료·헬스케어 플랫폼과 모바일 및 웨어러블 기기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관련 법과 조례가 제정됐고, 기업 지원 부족, 디지털 역량 격차, 접근 환경 부족, 이용 부담 등으로 인해 접근성과 활용도가 낮은 실정이다.
이에 연구진은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를 위해 ▲관련 조례 개정 ▲라이프로그 데이터 공유시스템 구축 ▲기업 역량 강화 교육 ▲리빙랩 사업 운영 ▲디지털 헬스케어 체험존 운영 ▲전담 상담사 사업 ▲기기 대여 서비스 등 7가지 정책 과제를 제안했다.
양지훈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한 이용자의 요구와 기업 속도를 법과 제도가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시대에 맞춰 기업 지원과 시민 접근성을 강화하면, 인천 시민이 건강 노화를 달성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