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농어촌공사 김인중 사장은 18일·19일 양일간 속초·강릉의 농업용수 관리 현장을 찾아 수자원 관리 현황을 점검하고 기후 적응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강릉에서는 오봉저수지 용수를 사용하는 농업인과 간담회를 갖고 가뭄 대응 상황과 후속 대응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으며, 속초에서는 최근 가뭄 대응 사례로 주목받는 지하수댐을 방문해 지하수를 활용한 농업용수 다변화의 의지를 드러냈다.
김인중 사장은 19일 강릉 오봉지소에서 정책고객 간담회를 갖고 현장 의견을 수렴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정호율 한국쌀전업농 강원도연합회 회장 등 지역 농업인이 참석했다.
농업인들은 “극한가뭄으로 농업용수 공급까지 중단돼 큰 어려움을 겪었으나 공사가 양수기를 투입해 용수를 공급해 줘 피해를 덜었다”라고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한편 “다만, 기후변화로 유사한 사태가 반복될 수 있는 만큼, 지하수댐 등을 검토해 안정적으로 농업용수를 공급해달라”라고 건의했다.
김인중 사장은 “가뭄 장기화로 인한 물 부족에 어려움이 컸을 것”이라며, “공사의 선제적 가뭄 대응이 현장의 도움이 돼 다행”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을 넘어, 적응력을 높여야 한다”라며, “공사는 강릉에서 진행 중인 농촌용수 개발사업 외에도 다양한 대책을 적극 건의·추진하고 안정적 농업용수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더불어 “오늘 제안해 주신 의견을 토대로 중장기·항구적인 가뭄 대응책을 마련하고, 예산 확보와 사업 추진에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전날인 18일에는 속초 쌍천2지하수댐을 방문해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지하수댐을 활용한 수자원 확보 방안을 논의했다. 쌍천2지하수댐은 공사가 속초시와 2021년 설치한 생활용 취수시설로, 속초시는 쌍천댐을 활용해 속초시 용수의 80% 이상을 공급하고 있다. 이번 영동지방 가뭄에도 불구하고 속초시에 안정적인 물 공급이 이뤄진 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인중 사장은 “지표수 확보와 더불어 돌발 가뭄에 대응할 지하수 자원을 확대해 수자원을 다변화해야 한다”라며, “그간 축적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농업용 지하수 댐 확대에 속도를 내겠다”라고 말했다.
공사는 국내 최초 지하수 댐인 ‘이안지하수댐’(경북 상주)을 시작으로 쌍천2지하수댐까지 지난 30여 년간 6개 지하수댐을 구축한 국내 최고 전문 기관이다. 이러한 역량을 인정받아 올해 5월에는 환경부가 발주한 ‘물 공급 취약지역 지하수저류댐 관리 기술개발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됐다.
앞으로는 강원 영동과 도서지방 등 물 부족 지역을 대상으로 농업용 지하수댐 예산 확보를 지속 추진하고, ‘농식품부 중기재정계획’에 지하수댐 설치를 반영해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 기반을 확충할 계획이다.
한편, 공사는 강릉 지역 가뭄 극복 사업추진과 더불어 중장기 수자원 관리 대책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농촌용수개발사업에 400억 원을 투입해 양수장과 저류지 설치, 관수로 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사천저수지 물그릇키우기를 통한 저류공간 확충 ▲오봉저수지 상류 보조댐 설치 ▲남대천, 사천천 지하수댐 개발 등을 관계기관에 적극 건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