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절은 우리 몸의 뼈와 뼈가 맞닿는 부분에서 경첩과 같은 역할을 하며 단단한 뼈가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완충재가 되어주고, 근육의 힘을 받아 우리 몸을 움직이게 하는 기관이다. 따라서 관절이 건강하지 않으면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삶의 질까지 크게 저하될 수 있다. 특히 무릎 관절은 체중을 지탱하기 때문에 손상되기 쉽고, 나이에 상관없이 통증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
문제는 이런 통증을 단순한 피로로 여기거나 시간이 지나면 나아질 거라 생각해 치료를 미루는 경우가 흔하다는 점이다. 하지만 통증의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 방치하면 연골 손상이 심해지고, 결국 퇴행성관절염으로 발전할 위험이 크다.
조은마디병원 송철 병원장은 “초기에는 가벼운 통증으로 시작되기 때문에, 본인이 증상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증이 관절염 때문인지 자가 진단하는 방법은 첫째, 통증이 지속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관절 부위가 붓거나 불편한 상태가 일주일 이상 지속되거나, 걸을 때 힘이 빠지는 느낌이 든다면 관절염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둘째, 무릎에서 나는 소리의 변화와 통증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관절에 이상이 생기면 소리가 둔탁해지고 통증이 동반될 수 있으며, 방치할 경우 관절염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세 번째 방법은 특정 자세에서 통증이 나타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계단을 오르내릴 때, 양반다리를 하거나 무릎을 꿇고 앉을 때 통증이 느껴진다면 관절염 초기 증상을 의심해야 한다. 이러한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된다면 병원을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라고 전했다.
관절염이 초기 단계에서 발견되면 약물 치료나 주사 요법, 물리치료 또는 운동치료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심해지고 보행이 어려워지는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송철 병원장은 “인공관절 수술은 손상된 관절을 제거하고 인공관절로 대체하는 수술이다. 관절이 손상되면 지속적인 통증뿐만 아니라, 닳아버린 연골이 하중을 견디지 못하면서 뼈의 손상과 다리 변형까지 초래할 수 있다. 이때 인공관절이 무릎 연골의 기능을 대신하게 하여 관절의 균형을 회복하고 정상적인 움직임을 가능하게 만든다.”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과거에는 수술이 위험하다는 인식이 컸지만, 최근에는 의학 기술의 발전으로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수술 전 다양한 분야의 협진을 통해 환자의 기저 질환과 수술 영향을 면밀히 검토한 후 맞춤형 치료를 진행할 수 있으며, 부분 인공관절 수술을 통해 신체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풍부한 임상 경험을 갖춘 의료진과 상담해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