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폭염, 집중호우 등 재난ㆍ재해를 대비하기 위한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 (이하 조기경보시스템)’ 을 이용하는 농가가 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서천호 국회의원(경남 사천ㆍ남해ㆍ하동)이 20일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조기경보시스템 가입 농가 수 (2024 년 7 월 기준)는 23,772 호로 전체 농가 54 만 3,034 호 대비 4.38% 에 불과했다. 이는 2020 년 가입률 5.93% 에 비해 오히려 감소한 수치다.
농촌진흥청에서 운영하는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단위의 기상 및 작물 재해정보를 예측하여 필요한 대응지침을 인터넷과 모바일로 농가에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강수, 바람, 일조 관련 기상 ‧ 재해는 3 일까지, 온도 관련 기상 ‧ 재해는 최대 9 일까지 예측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 85% 로 농민들에게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현재 조기경보시스템 서비스 지역은 78 개 시ㆍ군으로, ▲ 경북 (18) ▲ 전남 (17) ▲ 경남 (16) ▲ 전북 (14) ▲ 충북 (8) ▲ 충남 (2) ▲ 경기 (2) ▲ 강원 (1) 등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문제는 최근 5 년간 조기경보시스템 가입률이 3~5% 대로 매우 저조하다는 점이다. 조기경보시스템에 가입하기 위해선 웹사이트에서 신청서를 내려받아 필지주소, 재배작목, 인적사항 등을 기재하여, 우편 (팩스) 혹은 메일로 제출해야 한다.
또한, 모바일 웹을 통하거나 국립농업과학원, 도 농업기술원 및 시 ․ 군 농업기술센터에 직접 방문해 가입해야 한다.
서 의원은 “기후변화로 인한 농업 재해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조기경보시스템은 농가의 생계를 보호하는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면서, “농협 ( 오늘농사 ) ㆍ농정원 ( 농업 ON) 등에서 운영하는 공공플랫폼 및 농작물재해보험과 연계하여 서비스 가입률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