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기술의 발달로 기대수명이 늘었지만, 눈의 노화는 피할 수 없다.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디지털 기기의 장시간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눈의 피로가 누적되고, 중장년층은 물론 30~40대 젊은 세대에서도 백내장과 노안 같은 노인성 안질환이 늘고 있다.
백내장과 노안은 모두 눈 속 ‘수정체’의 노화에서 비롯된다. 수정체는 카메라 렌즈처럼 빛을 굴절시켜 망막에 상이 맺히도록 하는데, 탄력을 잃으면 초점 조절 기능이 떨어져 가까운 사물이 흐릿하게 보이는 노안이 나타난다. 그리고 투명했던 수정체가 혼탁해지면 백내장으로 진행된다. 백내장은 시야가 뿌옇게 흐려지고, 사물이 겹쳐 보이는 복시, 빛 번짐, 밝은 곳에서 시야가 더 불편한 주맹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며, 치료 시기를 놓치면 녹내장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잠실서울밝은안과 이현철 대표원장은 “흐림이나 눈부심은 백내장의 초기 신호일 수 있다. 안과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 없이는 환자 스스로 진행 여부를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정기적인 안과 검진이 필요하다. 특히 40세 이상 성인에게는 최소 1~2년에 한 번 정밀검사를 권장하며, 시야 변화나 불편감이 있을 때는 조기 진료를 통해 치료 시기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백내장은 진행성 질환으로 약물치료는 증상 완화나 진행 억제에 그칠 뿐, 근본적인 치료가 어렵다. 혼탁해진 수정체를 제거하고 인공수정체(IOL)를 삽입하는 수술을 통해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이현철 원장은 “최근에는 백내장 치료와 함께 노안 교정까지 가능한 다초점•연속초점 인공수정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심포니렌즈, 시너지렌즈, 팬옵틱스렌즈, 아이핸스렌즈 등이 대표적이며, 난시가 있는 경우 토릭렌즈를 적용해 교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수술 결과는 인공수정체의 종류 뿐 아니라 백내장 수술을 집도하는 의료진의 숙련도와 병원의 검사•관리 시스템에 크게 좌우된다. 백내장 수술은 미세하고 정밀한 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에, 펜타캠과 같은 각막 전안부 3D 촬영 장비를 활용한 사전 정밀검사와 체계적인 사후 관리가 필수적이다. 펜타캠은 각막의 전후면, 전방 깊이, 수정체 상태 등을 정확하게 측정해 수술 계획 수립에 도움을 준다”고 전했다.
이현철 원장은 “백내장 수술은 우리나라 국민들이 해마다 많이 받는 수술 중 하나로 보편화된 수술 중 하나이지만 고도의 기술과 수술 경험이 필요한 정밀 수술이다. 백내장 수술 병원 선택 시 더 저렴한 비용만이 아니라 의료진의 노하우, 장비의 정밀도, 사후 관리 시스템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백내장 수술 후에는 자외선 차단, 안약 점안, 눈 비비지 않기 등 관리 수칙을 잘 지켜야 회복이 원활하다 또한 수술 이후에도 회복과정 까지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철저한 사후관리를 해주는 안과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