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습관이 부른 척골신경포착증후군, 초기 치료가 중요

  • 등록 2025.09.12 09:00:02
크게보기

 

손과 팔은 일상 속에서 끊임없이 움직인다. 컴퓨터 자판을 두드리고 스마트폰 화면을 터치하며, 책상에 팔꿈치를 고정한 채 장시간 앉아 있는 습관은 손과 팔 신경에 지속적인 부담을 준다. 이러한 환경에서 약지와 새끼손가락 저림, 감각 둔화, 손의 힘 빠짐 같은 증상이 반복된다면 ‘척골신경포착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다.

 

척골신경은 팔꿈치에서 손끝까지 이어져 손가락 움직임과 감각을 담당하는 중요한 신경이다. 이 신경이 좁은 통로에서 압박을 받으면 통증과 감각 이상, 근력 약화가 발생한다. 발생 부위에 따라 팔꿈치 안쪽에서 눌리는 주관증후군과, 손목 부위에서 압박되는 척골관증후군으로 구분된다.

 

주관증후군은 팔꿈치 안쪽의 통로인 ‘주관(cubital tunnel)’을 지나는 척골신경이 반복 압박을 받아 발생한다. 팔꿈치를 구부린 채 스마트폰을 보거나 턱을 괴는 습관, 팔베개를 하고 자는 자세가 대표적 원인이다. 주요 증상은 네 번째와 다섯 번째 손가락의 저림과 감각 저하, 팔꿈치 안쪽 통증이다. 심해지면 손가락이 굳어지거나 손 근육이 위축되는 변형까지 초래할 수 있다.

 

척골관증후군은 손목 안쪽의 작은 통로인 ‘기용관(Guyon’s canal)’ 부위에서 척골신경이 눌려 발생한다. 자전거를 오래 타거나 손바닥에 지속적인 압력을 주는 작업을 할 때 잘 나타난다. 이 경우 손목 주변 불편감과 함께 약지•새끼손가락 이상감각이 생기며, 진행되면 손가락 세밀한 움직임이 어려워지는 내재근 마비가 동반된다.

 

문제는 이들 질환이 초기에 근육 피로나 단순 뻐근함으로 오해되기 쉽다는 것이다. 하지만 신경 압박이 장기간 이어지면 신경 섬유가 손상돼 회복이 어려워지고, 정교한 손동작이 제한되는 등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준다. 따라서 손 저림이 2주 이상 지속되거나 점점 심해진다면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한다.

 

광명 삼성리더스정형외과 송승철 원장은 “필요 시 신경전도검사, 초음파, MRI 등을 활용해 신경 압박 부위를 확인한다. 치료는 대개 보존적 방법이 우선된다. 물리치료와 약물치료, 스트레칭과 자세 교정, 신경 주변 약물 주사 등이 대표적이다. 통증이 심하거나 증상이 장기간 이어지면 신경 감압 수술이 고려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예방은 생활 습관 교정에서 출발한다. 팔꿈치를 구부린 채 오랫동안 스마트폰을 사용하거나 턱을 괴는 습관을 줄여야 한다.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는 기기를 눈높이에 맞추고, 작업 중 30분~1시간마다 팔과 손목을 스트레칭해 긴장을 풀어주는 것이 좋다. 또한 무거운 물건을 한 손에 들거나 손목에 과도한 압력을 주지 않도록 작업 환경을 조정해야 한다. 추운 날씨에는 손과 손목을 따뜻하게 보호하는 것도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척골신경포착증후군은 초기 대응만으로도 충분히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이다. 그러나 방치하면 영구적인 신경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이다.

김효영 a1@livesnews.com
Copyright @2012 라이브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A1축산(주) 전화 : 02-3471-7887, 010-6280-7644 / E-mail : a1@livesnews.com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로 1길 14 삼일프라자 829호 Copyright ⓒ 라이브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