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유일의 나물 명인 고화순 하늘농가㈜ 대표가 한국 나물문화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그는 최근 열린 ‘K-나물 세계화 심포지엄’에서 나물의 세계화를 위한 5대 어젠더를 발표하며, 전통음식 나물이 세계 식품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 명인은 “나물은 단순한 풀반찬이 아니라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지혜가 담긴 음식”이라며 “우리 조상들이 계절과 땅의 변화를 존중하며 길러온 나물 문화는 한국의 정신이자 생명철학”이라고 말했다.

그는 저서 『조물조물 나물 이야기』에서 “나물은 흙과 햇빛, 바람이 빚어낸 생명식품으로,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자연의 언어”라고 정의한 바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나물은 단순한 식재료를 넘어 ‘K-푸드의 뿌리이자 미래 식문화의 대안’으로 평가된다.
고화순 명인은 이번 심포지엄에서 나물의 세계화를 위해 정부, 산업계, 학계가 함께 추진해야 할 5대 어젠더를 제시했다.
생산·가공·유통이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생태계를 조성해, 나물산업이 지속 가능한 구조로 성장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계 각국 셰프와 음식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경연대회를 통해, 나물 요리의 다양성과 문화적 가치를 세계에 알릴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나물을 활용한 혁신적 가공식품과 콘텐츠를 개발해 ‘K-나물’ 브랜드를 구축하고, 세계 시장 진출을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세계나물센터(World Namul Center)’를 설립하여 연구·교육·전시 기능을 갖춘 국제 거점기관을 세우고, 한·중·일 3국이 협력하는 ‘나물 삼국지 프로젝트’를 추진해 동아시아 협력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나물은 한국 고유의 식문화이자, 생태적 삶의 지혜를 담은 무형의 자산”이라며 “세계가 함께 공유해야 할 문화유산으로 발전시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추진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고 명인은 나물 세계화의 필요성에 대해 “세계 식품시장은 건강과 지속가능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며 “나물은 인류의 식생활 위기에 대한 해답이자, 한국이 세계 식문화의 중심으로 도약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라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기후위기 시대, 나물은 탄소배출이 적고 생태순환에 기반한 친환경 식재료로 주목받고 있다”며 “나물을 세계화하는 일은 곧 한국의 농업과 문화가 지속가능한 미래로 나아가는 길”이라고 덧붙였다.
심포지엄에는 민승규 세종대 석좌교수(전 농촌진흥청장), 강레오 롯데쇼핑그룹 FIC센터장, 강승모 한국임업진흥원 본부장 등이 참석해 나물의 산업화 및 글로벌 전략을 논의했다. 전문가들은 “K-나물은 단순한 먹거리를 넘어 인류가 공유할 수 있는 문화적 가치”라며, “유네스코 등재를 위한 체계적 연구와 국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고화순 명인은 앞으로 국내외 학계, 문화기관, 지자체와 협력해 나물의 무형문화재 지정과 유네스코 등재를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그는 “나물은 우리의 역사와 정서를 담은 음식이자, 지구를 위한 음식”이라며 “K-나물이 세계인의 식탁에 오르고, 인류의 문화유산으로 자리 잡는 그날까지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