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이 의원, 말로만 노 재팬 (No Japan)? 가스안전공사, 일본산 장비 의존 심각

  • 등록 2024.09.30 12:35:34
크게보기

- 대일 의존도 50% 감축 발표에도 ... 일본산 장비 비중, 2019년 대비 2024년 1.8% 감소
- 전범기업 ㈜ 도쿄가스 레이저메탄검지기 보유 ... 일본산 장비 중 2번째로 많아
- 김 의원, “전범기업 및 일본산 검사장비 대체할 국산 제품 개발 및 교체 시급”

 한국가스안전공사는 2019년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한국 제외 등 글로벌 무역분쟁으로 ‘노 재팬 (No Japan)’ 열풍이 불었을 당시, 대일 의존도를 낮추겠다며검사ㆍ점검 장비의 일본산 비중을 3년 내 50% 이상 감축하는 ‘가스안전 기술경쟁력 강화 대책’ 을 발표했지만, 6년이 지난 지금도 일본산 장비를 절반 가까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목포시)이 한국가스안전공사로부터 제출받은 “가스 검사장비 보유현황” 에 따르면, 2019년 당시 전체 검사장비 4,043점 중 1,886점으로 46.6% 가 일본산 장비였다.

 

 공사의 목표에 따라 3년까지 20% 까지 감축됐어야 했던 일본산 장비는 2024년 9월 현재, 44.8%(1,923 점)로 19년 대비 1.8%만 감소된 것으로 확인됐다. 심지어 공사는 일본산 장비를 줄이는 노력을 보이기는커녕 2019년보다 37점이나 더 구매한 것으로 드러났다.

 

 일본산 장비별로 살펴보면, 2024년 현재 가스누출검지기가 765점으로 가장 많았고, 레이저메탄검지기 (휴대용)가 237점, 초음파두께측정기 123점 등 순으로 보유하고 있었다.

 

 이 중 레이저메탄검지기는 도쿄가스(주) 에서 구입한 것으로, 도쿄가스는 지난 2012년 국무총리실이 발표한 299개 일본 전범기업 중 한 곳으로 드러났다.

 

 한국가스안전공사는 2012년부터 검사장비를 국산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검사장비 제품 개발 비용이 높고 국내 시장규모가 작아 국산화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한국가스안전공사는 일본산 가스 검사장비를 절반으로 줄인다고 했지만 오히려 장비가 늘었으며, 심지어 전범기업 제품도 사용하고 있다” 며, “한국가스안전공사는 전범기업 뿐만 아니라 일본산 장비를 대체할 국산 제품의 개발 및 교체가 시급하다” 고 강조했다.

원건민 press119@naver.com
Copyright @2012 라이브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A1축산(주) 전화 : 02-3471-7887, 010-6280-7644 / E-mail : a1@livesnews.com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로 1길 14 삼일프라자 829호 Copyright ⓒ 라이브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