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깨에서 발생하는 질환 중에서 발병률이 높은 질환으로 '어깨회전근개파열'이 꼽힌다. '어깨회전근개'는 어깨관절 주위에 자리한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이라는 4개 근육의 복합체를 뜻한다. 이들은 어깨관절의 안정성과 움직임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데, 여러 원인들로 인해 조직에 손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잠실 선수촌병원 박근민 원장은 “어깨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 팔을 크게 휘두르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 올바르지 못한 자세로 어깨 운동을 하는 것 등이 어깨회전근개를 손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신체에 퇴행성 변화가 진행되면 조직이 약화되어 작은 충격만 받아도 조직이 파열되기도 한다. 이외에도 조직의 형태학적 이상, 외상, 혈액순환 장애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는데, 어깨회전근개 조직이 견봉과 상완골 사이에서 반복적인 물리적 압박을 받으면서 점차적으로 파열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어깨회전근개에 파열이 생기면 어깨에 통증이 지속되고, 어깨 근력 약화, 어깨관절의 움직임 제한, 야간통 등이 나타난다. 또한 팔을 들어 올릴 때 특정 각도에서 통증이 심해지거나 팔에 힘이 제대로 들어가지 않는 증상도 발생할 수 있으며, 조직이 완전히 파열된 경우에는 팔을 위로 들어 올리는 동작이 어려워지기도 한다”고 전했다.
박근민 원장은 “어깨회전근개파열은 이학적 검사 및 MRI와 같은 정밀검사로 확진이 가능하다. 검사 결과를 통해 조직의 파열 양상을 파악하여 비수술적 치료 또는 수술적 치료를 진행한다. 어깨회전근개의 파열이 경미한 편에 속하는 환자는 대부분 약물 치료 및 주사요법, 물리치료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렇지만 비수술적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급성 파열이 동반된 경우, 파열 범위가 넓은 경우 등에서는 파열 부위를 봉합하는 수술적 치료가 고려된다”고 전했다.
이어 “파열된 어깨회전근개 조직을 계속 방치하면 만성통증 및 어깨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또한 치료가 지연되면 파열 부위에 변성이 생기면서 치료가 더욱 어려워지기도 하니 가급적 빠르게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권장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