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한국식자재유통협회(KFDA)는 18일 “식자재마트는 외식업을 운영하는 중소 규모 식음 사업자를 주요 고객층으로 두고, 대량 구매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소상공인의 생존과 외식 생태계 유지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다”며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협회에 따르면 국내 식자재마트는 대부분 소규모에서 출발해 성장해왔으며, 전체 구매 비중 가운데 식당을 운영하는 소상공인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이를 통해 지역 외식업 종사자들이 대형마트나 온라인 플랫폼 대비 비용 부담을 줄이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어, 외식업계의 ‘생활 인프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해외 사례도 언급됐다.
협회는 미국의 대표적 식자재 전문 매장인 ‘레스토랑 디포(Restaurant Depot)’를 예로 들며 “간소한 물류 시스템과 효율적 공간 운영을 통해 비용 절감과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한 대표적인 성공 모델”이라고 평가했다.
이 매장은 중소형 외식업체가 필요한 대부분의 식자재·기기류를 한 곳에서 구매할 수 있도록 구축돼 있어, 미국 외식업계의 ‘필수 파트너’로 성장했다는 점이 국내 정책 수립 과정에서도 참고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협회는 반면 국내에서 논의 중인 일부 규제 움직임은 업태에 대한 충분한 이해 없이 추진되는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경기 불황 장기화 속에 영세한 식자재마트의 부도 사례가 발생하고 있으며, 업계 외연에 비해 과도하게 부풀려진 인식도 문제로 꼽았다.
협회는 “언론 등에서 언급되는 ‘3대 식자재마트’ 규모도 지난해 금융감독원 공시 기준 7908억원에 불과해 실제보다 과장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협회는 “식자재마트는 영세 식음업체와 상생하는 유통 경로로, 규제보다는 외식 생태계를 보호하고 강화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글로벌 성공 사례를 벤치마킹해 자영업자를 뒷받침하는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한국식자재유통협회 관계자는 “식자재마트는 변화하는 식품 유통 환경 속에서 외식업 소상공인의 생태계를 지탱하는 핵심 인프라”라며 “정책 당국이 규제 중심의 접근에서 벗어나 실효성 있는 지원책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협회는 지난 2017년 설립된 이후 ‘안전한 먹거리와 유통 산업 선진화’를 목표로 산지 직거래, 식자재 표준화 사업, GLC 식자재유통 안전인증기준 마련 등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