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니스엘보와 골프엘보는 테니스나 골프 선수에게만 생기는 질환으로 오해하기 쉽다. 하지만 팔과 손목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질환으로, 특히 장시간 손을 많이 쓰는 직업군에서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인데 목수, 요리사, 미용사처럼 손목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직업군이 대표적이다.
테니스엘보는 ‘외측상과염’이라고 하며, 팔꿈치 바깥쪽 힘줄이 손상되어 통증이 발생한다. 손목을 뒤로 젖히거나 수건을 짜는 동작, 무거운 물건을 들 때 통증이 심해지는 것이 특징이다. 반면 골프엘보는 ‘내측상과염’으로 불리며 팔꿈치 안쪽 힘줄에 염증이 생긴다. 병뚜껑을 돌리거나 걸레를 짜는 동작, 즉 손목을 안쪽으로 굽히는 동작에서 통증이 두드러진다.
테니스엘보와 골프엘보의 통증은 일상생활 속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컵이나 주전자를 들 때 팔꿈치가 시큰하거나, 문손잡이를 돌릴 때 순간적으로 통증이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수건을 짜거나 무거운 가방을 들 때, 손목을 살짝만 움직여도 팔꿈치 부근이 찌릿하게 당기는 느낌이 든다면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통증은 처음에는 가벼운 불편감으로 시작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통증 부위가 넓어지고 강도가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 팔을 펴거나 구부릴 때 뻣뻣한 느낌이 들거나, 밤에 통증이 심해져 잠에서 깨는 경우도 있다.
잠실연세재활의학과의원 장지훈 원장은 “초기에는 무리한 팔 사용을 줄이고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며, 대부분은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될 수 있다. 물리치료, 약물치료, 보조기 착용 등 여러 방법이 활용되는데, 특히 체외충격파 치료는 만성 염증 부위에 미세한 자극을 주어 혈류를 개선하고 조직 재생을 돕는 방식으로, 절개나 마취가 필요 없어 일상 복귀가 비교적 빠른 편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골프엘보와 테니스엘보 질환은 전문의의 상담이 필요하며, 이는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또한, 신뢰할 수 있는 의료기관을 선택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며, 경험이 풍부한 전문의가 있는 의료기관에서 진료받는 것이 회복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했다.
장지훈 원장은 “테니스엘보나 골프엘보는 단순히 팔꿈치 주변의 통증에 그치지 않고, 반복적인 자극이 누적될 경우 근육과 힘줄의 미세 손상이 만성화되면서 회복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 초기에는 가벼운 통증이라도 적절한 관리와 휴식을 통해 악화를 막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