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치료와 예방 접종이 필수적인 대상포진.. 초기 예방해야

  • 등록 2025.11.13 16:07:47
크게보기

 

환절기에는 면역력이 떨어지기 쉬워 대상포진 같은 질환이 흔하게 발생한다. 어린 시절 수두를 앓았거나 백신 접종을 받은 사람은 일생 동안 체내에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를 보유하게 된다. 평소에는 괜찮다가도 면역력이 떨어지면 척추 신경절에 숨어있던 바이러스가 다시 활동을 시작하면서 질병을 유발하게 된다.

 

초기에 나타나는 증상은 발열, 오한 등으로 감기나 몸살로 오해하기 쉽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신경을 따라 붉은 반점과 다수의 수포가 발생한다. 이때, 발진이 나타날 부위에 심한 통증이 동반되는데 일부 환자들은 수술 후나 출산 시 겪는 통증보다 더 심한 고통을 느낀다고 할 정도로 심하다. 포진을 적절히 치료하지 않을 경우 흉터가 생기거나 피부가 탈색되거나 색소침착이 발생할 수 있다.

 

대상포진은 초기 증상 발현 후 72시간 이내에 항바이러스 약물을 투약하여 빠르게 치료해야 한다. 이는 피부 발진이나 통증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합병증은 증상이 나타난 위치와 원인균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를 테면, 후유증은 신경통뿐만 아니라 안면마비, 난청, 이명, 시력 감퇴, 신경인성 방광, 뇌수막염 등 여러 형태로 발생할 수 있다.

 

이중 대표적인 합병증으로는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 있다. 해당 피부 질환 증상이 사라진 후에도 병변 부위에 아픔이 계속해서 느껴질 수 있다. 이런 아픔은 보통 60대 이상 노년층 또는 지병이 있는 사람, 면역 억제제를 섭취 중인 환자들에게서 나타나기 쉽다. 만약 시기를 놓친다면 지속적인 통증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의심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원 연세베스트 내과 권상재 대표원장은 "60세 이상 노인분들의 경우에는 해당 질환을 겪은 환자 중 거의 절반 가까이가 그 이후로도 신경통 증상 때문에 고통스러워 할 정도로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다."라고 말했다. 물집이 없어진 이후에도 짧게는 한 달, 길게는 세 달까지 병변 부위에 바늘로 찌르는 듯한 통증이 지속될 수 있으며, 영구적인 신경 손상을 일으킬 수도 있다. "이러한 합병증은 치료하는데 일 년 이상 소요될 수 있으므로 초기에 빠르게 치료하여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항바이러스 치료는 최초 발진 발생 후 72시간 이내에 시행하는 것이 권장된다. 만약 면역력이 약한 환자이거나 수막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에는 정맥주사를 통한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 치료 중에는 물집이나 수포가 오염되지 않도록 깨끗하게 유지하고, 다른 부위와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권 원장은 50세 이상부터는 대상포진 합병증 발병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예방 접종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예방접종은 한 번만 맞아도 60% 이상의 예방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신경통 등 부가적인 질병 발병 가능성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면역력이 낮아지지 않게끔 영양소를 충분히 골고루 먹고 푹 쉬는 게 중요하다. 무엇보다도 비타민 및 미네랄 등의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면서 건강 관리에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방법들을 실천하면 대상포진을 미리 막을 수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강현구 ceo@big-line.kr
Copyright @2012 라이브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A1축산(주) 전화 : 02-3471-7887, 010-6280-7644 / E-mail : a1@livesnews.com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로 1길 14 삼일프라자 829호 Copyright ⓒ 라이브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