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퇴행성 관절염 치료, 무릎연골 손상 정도에 따라 각각 적용

  • 등록 2025.11.18 14:30:17
크게보기

 

매일 걷고 움직이는 일상 동작들은 무릎 관절에 지속적인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런 부담이 무릎에 쌓이게 되면, 어느 순간부터 무릎 관절이 뻣뻣해지거나 오래 걷고 난 뒤 통증이 지속되기도 한다. 특히 날씨가 추워지면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무릎 퇴행성 관절염의 전조일 수 있으니 증상을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좋다.

 

무릎 퇴행성 관절염은 나이가 들수록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평소 활동량이 많거나 무릎에 부담을 주는 생활습관을 가진 경우에는 더 일찍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무릎 퇴행성 관절염은 무릎에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여 삶의 질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므로, 건강한 노후 생활을 위해서는 무릎 관절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잠실 선수촌병원 정형외과 김상범 대표원장은 “무릎에 발생하는 퇴행성 관절염은 무릎뼈를 보호하고 있는 뼈연골이 점차 손상되면서 뼈끼리 충돌을 일으켜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무릎 퇴행성 관절염이 지속되면 다리가 점점 바깥쪽으로 벌어질 수 있으며, 심할 경우 무릎뼈가 깎여나가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질환 초기 및 중기의 환자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 요법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주사 요법 중 하나인 자가골수 줄기세포 주사 치료(BMAC)도 적용이 가능하다. 자가골수 줄기세포 주사 치료는 환자의 장골능에서 채취한 자가 골수를 원심 분리하고 농축된 골수 줄기세포를 무릎 관절강 내 주사하는 것으로, 주사 치료만으로 뼈연골 조직의 재생 도모가 가능한 치료 방법이다. 또한 마취나 절개 없이 진행되어 환자가 느끼는 부담이 적고, 환자 본인의 골수를 이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거부 반응에 대한 걱정도 크게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고 전했다.

 

김상범 원장은 “무릎 뼈연골의 손상이 심각한 편이라면 줄기세포 카티스템 및 절골술 등의 수술적 치료도 적용이 가능하다. 무릎 퇴행성 관절염 말기의 환자는 무릎 뼈연골뿐만 아니라 뼈에도 손실이 생긴 상태로, 이런 경우에는 무릎에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수술이 고려된다”고 전했다.

 

이어 “무릎 퇴행성 관절염은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 중 약 80%에서 나타나고 있다고 한다. 무릎 퇴행성 관절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무릎에 과도한 부담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무릎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김효영 a1@livesnews.com
Copyright @2012 라이브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A1축산(주) 전화 : 02-3471-7887, 010-6280-7644 / E-mail : a1@livesnews.com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로 1길 14 삼일프라자 829호 Copyright ⓒ 라이브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