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현대인들 중 상당수가 “머리가 무거워요”라는 증상을 호소한다. 반복적으로 머리가 무거운 느낌이 지속된다면 보통 의료기관을 찾게 된다. 사실 단순히 피곤해서 머리가 띵하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브레인포그(Brain Fog)’라 불리는 인지기능 저하 증상일 가능성이 높다. 머리가 멍하고 집중이 되지 않으며, 어지러움, 두통은 물론 기억력이 떨어지고 판단력이 둔해지는 이 현상은 단순한 피로가 아니라 신경계와 순환계의 불균형에서 비롯된다.
브레인포그의 근본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것이 바로 교감신경항진증이다. 교감신경은 우리 몸의 ‘긴장과 각성’을 담당하는 신경으로, 스트레스나 불안, 과도한 업무, 수면 부족 등이 지속되면 과도하게 활성화된다. 이 상태가 장기화되면 혈관이 수축하고 뇌혈류가 감소하며, 두통이나 어지럼증을 비롯해 집중력 저하, 불면. 심장 두근거림 등이 동반된다. 특히 교감신경이 계속 항진된 상태에서는 항상 몸이 ‘긴장 모드’로 유지되어 머리가 무겁고 멍한 느낌이 쉽게 나타난다.
용산 회춘당 경희류한의원 류봉하 명예원장은 “한의학적으로는 이러한 증상을 기혈 순환의 막힘과 담적, 간기울결, 심비허 등의 범주로 해석한다. 즉, 몸의 기와 혈이 머리로 제대로 오르지 못하거나, 정서적 긴장이 심해 간의 기운이 울체되면 뇌의 기능이 혼탁해지고 머리가 답답하게 느껴지는 것이다. 교감신경항진증도 결국 이와 같은 전신 불균형의 한 형태로, 단순히 신경의 문제만이 아니라 몸 전체의 조화가 깨졌다는 신호로 본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럴 때 한방에서는 전통 처방을 통해 뇌의 기혈순환을 회복시키고 교감신경의 과흥분을 안정시키는 치료를 병행한다.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사향공진단이다. 시행공진단은 대표적인 보신과 보혈 처방으로, 귀한 약재로 구성되어 있어 한의원에서 진료 상담 후 적응증에 맞게 처방 받는게 일반적이다”고 전했다.
류봉하 원장은 “사향공진단은 단순한 피로회복제가 아니라, 교감신경항진증으로 인한 머리가 무거워 생기는 두통이나 어지러움, 뇌 피로와 인지 저하를 근본적으로 다스리는 처방으로 평가된다. 사향은 기혈 순환을 빠르게 소통시켜 막힌 곳을 뚫어주고, 녹용은 뇌신경과 내분비 기능을 강화하며, 당귀와 산수유는 피로로 손상된 혈과 진액을 보충해준다. 이로써 브레인포그의 원인이 되는 순환 장애와 신경 불균형을 바로잡아 머리를 맑게 하고 집중력을 높인다. 또한 사향공진단은 단순히 뇌 기능 향상뿐 아니라, 장기적인 스트레스와 과로로 인한 자율신경계 불균형을 조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전했다.
이어 “브레인포그와 교감신경항진증은 현대 사회의 ‘보이지 않는 피로’가 만든 대표적인 질환이다. 커피나 각성 음료로 일시적으로 버티는 대신, 뇌와 몸의 근본적인 균형을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의학에서는 개인의 체질에 맞게 사향공진단을 비롯한 보신 보혈 처방과 신경 안정 한약을 병행하며, 식습관 및 수면·호흡 훈련 등을 통해 자율신경을 안정시키는 종합적인 치료를 권한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