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 교합보다 윗니가 아랫니를 과도하게 깊게 덮고 있는 상태를 '과개교합'이라고 한다. 이는 흔히 발견되는 부정교합 유형 중 하나로, 심미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구강 건강 전반에 걸쳐 다양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과개교합이 지속될 경우, 아랫니가 윗니 안쪽 잇몸을 지속적으로 자극해 통증이나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치아 마모가 빠르게 진행되거나, 치열이 삐뚤빼뚤해지는 '총생' 또는 치아 사이가 벌어지는 공간이 발생할 수 있다. 심한 경우에는 턱관절에 과도한 부담을 주어 턱관절 질환의 위험을 높이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예방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치아교정을 통한 근본적인 치료가 권장된다. 과개교합 교정은 환자의 연령, 골격 상태, 치열의 복잡도에 따라 치료 계획이 달라진다.
성장기 아동이나 청소년의 경우, 턱뼈의 성장을 이용한 교정 장치를 통해 비교적 수월하게 개선을 유도할 수 있다. 이미 성장이 멈춘 성인의 경우에도 치료는 얼마든지 가능하다. 성인 교정은 미니임플란트(미니스크류)를 식립해 치아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이동시키거나, 필요한 경우 소구치 발치 등을 통해 치아 이동 공간을 확보하여 정상적인 교합을 완성한다.
환자의 구강 상태에 따라서는 치아를 뽑지 않고 진행하는 '비발치 교정'이 가능할 수도 있다. 하지만 비발치 교정은 모든 과개교합 케이스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반드시 정밀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인천 연세반트치과교정과치과의원 시경근 대표원장(치과교정과 전문의)은 "과개교합을 장기간 방치하면 치아 마모, 잇몸 염증, 턱관절 문제 등 복합적인 구강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적절한 시기에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라며, "특히 비발치 교정 가능 여부 등은 숙련된 치과교정과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을 통해서만 파악할 수 있으므로, 풍부한 임상 경험을 갖춘 의료진과 충분히 상담하여 개인에게 맞는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