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3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농업 / 산림

“추석 벌초 예취기 이렇게 사용하세요”

농진청, ‘예취기 안전이용수칙’ 발표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추석 전 벌초를 위한 예취기 사용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예취기 안전이용수칙’을 발표하고 예취기 안전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2011년 농촌진흥청 사고 조사에 따르면 예취기 100대당 사고 발생빈도는 0.16건으로 경운기(0.79건), 트랙터(0.38건) 다음으로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취기 사고유형을 보면 ‘예취기 칼날이 돌 등에 부딪히면서 부러진 칼날이나 돌이 튀어 다치는 경우’가 58 % 로 가장 많았으며, ‘칼날에 베이거나 찔리는 경우’와 ‘예취작업 중 넘어지는 경우’가 각각 8 % 등이었다.

  특히, 예취기 사고원인을 보면 ‘운전자 부주의’가 50 %, ‘운전 미숙 및 안전장비 미흡’이 각각 25 %로 모두 인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취기를 사용하기 전에는 △안전모, 보호안경, 무릎보호대 등 보호구 착용 △빈 병이나 깡통, 돌 등 위험요인 제거 △균열, 휨 등이 있는지 예취기 칼날 점검 등을 해야 한다. 
  예취기를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두 손으로 잡고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작업하고 지나친 흔들림, 소음이나 떨림이 있을 경우 시동을 끄고 칼날이 잘 조립돼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또한 예취날에 풀 등이 감겼을 때에는 반드시 엔진을 정지시킨 후 없앤다.
  휴식 등으로 예취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엔진을 정지시킨 후 수평으로 놓아두고, 작업이 끝난 후 다른 장소로 이동할 때에는 예취기의 시동을 끈 후 칼날이 몸에 닿지 않도록 한다.

배너
배너

포토이슈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