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전근개는 견갑골로부터 기시하여 어깨를 감싸고 있는 4개의 근육(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 복합체다. 회전근개는 상완골의 안정성을 유지시키고, 어깨 관절의 다양한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여러 원인들로 인해 회전근개에 손상이나 파열이 생길 수 있는데, 극상근의 파열률이 가장 높은 편으로 나타나고 뒤쪽으로 U자 형태를 띠며 파열이 진행되는 양상을 보인다.
잠실 선수촌병원 박근민 원장은 “회전근개의 파열은 오구견봉궁의 형태학적 이상, 혈액순환 장애, 어깨 및 팔의 과도한 사용, 조직의 퇴행성 변화, 부상 등 여러 요인들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주로 극상건 파열이 많고, 조직이 견봉과 상완골두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물리적인 압박을 받아 점차적으로 파열되는 경우가 흔한 편이다.회전근개에 파열이 생기면 어깨에서 통증이 느껴지고 근력 약화, 운동 제한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밤이 되면 통증이 악화되는 야간통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회전근개파열은 MRI 검사 결과를 통해 어느 부위에서 어느 정도의 파열이 생겼는지 파악할 수 있다. 파열이 비교적 경미한 편에 속하는 환자는 물리치료 및 보조기 착용, 주사 요법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적용하며, 치료 시에는 통증 감소 및 관절 운동 범위의 확대에 중점을 두어 진행한다. 조직의 파열 범위가 넓거나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극심한 어깨통증이 지속되는 환자는 파열 부위를 봉합하는 수술적 치료도 고려할 수 있다”고 전했다.
수술 후에는 수동적 관절 운동의 조기 회복이 가장 중요하다. 또한 체계적인 재활 과정을 거쳐 근력의 점진적인 회복을 거쳐야 하며, 어깨 관절의 운동성과 조직의 치유 사이에 균형을 이루어 재활을 진행해야 한다. 수술 후에 적절하지 못한 재활을 시행하면 어깨 관절에 강직이나 통증이 재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