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세혈관염은 피부의 소혈관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흔히 ‘색소성 자반증’이라고 불린다. 이 질환은 주로 팔과 다리에 붉은 반점(자반)이 나타나며, 기장이 짧은 옷을 입을 때 증상이 더 두드러질 수 있어 여름철이 되면 내원하는 환자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과격한 신체 활동이나 정맥 고혈압, 하체 모세혈관 취약성, 국소 감염, 약물 등이 발병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더운 날씨에 장시간 야외 활동을 하거나, 감기에 걸린 이후에 자반증이 발병하거나 악화되는 경우가 자주 관찰된다.
모세혈관염은 건선, 습진, 두드러기와 같은 다른 피부염과도 유사한 점이 있어 자반증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경우 감별이 어려워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만성화되면 증상이 다른 부위까지 번지고, 영구적인 색소침착을 남길 수 있으므로 빠른 시일 내에 치료할 수 있는 병원을 찾는 것이중요하다.
동경한의원 유승선 원장은 “다만 모세혈관염의 양의학적 치료는 주로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등 대증적인 약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약물들은 장기 복용 시 면역계, 소화기계, 심혈관계 등 여러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며 약물 내성 문제로 인해 재발을 경험할 가능성이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오진으로 인해 잘못된 치료를 받은 결과 자반증이 전신으로 번지고, 치료 기간이 길어지며, 치료 후에도 진한 색소 침착을 남기는 사례를 자주 접한다. 모세혈관염은 장기화될수록 외모 손상과 심각한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어, 초기 자반증을 정확하게 진단받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유승선 원장은 “모세혈관염은 부작용 가능성이나 치료 효과 모두에서 한방 치료가 확실히 우세한 질환이다. 그 중 자반증 치료 한약 자로탕은 국제 SCI급 저널에 실리는 등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