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장년층에서 다리가 저리거나 당기는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 혈액순환의 문제로 여겨 방치하기 쉽지만, 이러한 증상은 척추 질환에서 기인하는 경우가 상당수이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척추관협착증'은 허리 통증 없이도 다리 저림 증상만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중장년층의 적극적인 관심이 요구된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추 내부의 신경이 지나는 공간인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척추 퇴행이 진행되는 중장년층에게 흔히 나타나며, 걸을수록 다리 저림이 심해지고 앉거나 잠시 쉬면 다시 호전되는 특징적인 증상을 보인다. 증상을 방치할 경우 점차 보행 장애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청담 우리들병원 이준호 원장은 “척추관협착증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MRI와 같은 정밀검사가 필수이며, 척추 전문성을 갖춘 신경외과 의료진의 진료가 중요하다. 대표적인 치료 방법으로는 척추인대재건술이 있다. 척추인대재건술은 척추 후방의 두꺼워진 황색인대가 신경을 누르며 생기는 통증을 줄이기 위해, 해당 인대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특수한 인공인대를 삽입하여 척추의 안정성을 회복시키는 수술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존처럼 척추뼈를 제거하거나 유합하는 방식이 아닌, 정상적인 척추 관절을 보존하면서 문제가 되는 황색인대를 제거하고 재건하는 방식으로 척추인대재건술의 가장 큰 장점은 근육 손상과 출혈이 거의 없고, 나사나 금속 고정물 없이도 척추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고령 환자나 골다공증이 있는 환자도 비교적 안전하게 수술이 가능하며, 수술 후 보조기를 착용한 상태로 빠른 보행이 가능해 회복 속도 또한 빠르다”고 전해ᅟᅦᆻ다.
이준호 원장은 “다만, 치료 시 정확한 진단과 함께 각 환자의 증상 및 상태에 따라 가장 적합한 방법을 활용해야 한다. 이에 다양한 척추 수술 경험을 가진 전문 의료진과의 상담을 통해 최소침습 기법을 기반으로 환자의 부담을 줄이고, 수술 후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척추관협착증은 초기에는 허리 통증 없이 다리 저림으로만 나타나기 때문에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척추 문제로 인해 나타나는 다리 증상은 초기에 적극적으로 진단받고 치료할수록 예후가 좋고 삶의 질도 빠르게 회복할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