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 문화플랫폼 이스트라이프(대표 최진영)가 지난 3년간 ‘강릉비치비어페스티벌’과 ‘솔올블라썸’ 등 지역 축제를 운영하며, 강릉의 문화산업 경쟁력 강화와 지역민이 주도하는 문화 생태계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이스트라이프(EASTLIFE)는 강릉과 삼척을 기반으로 축제, 문화기획, 로컬 브랜딩, 예술 콘텐츠 개발을 수행하는 지역 문화 플랫폼 기업이다. ‘로컬이 주인공이 되는 축제’를 모토로, 대형 공연 위주의 기존 축제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 양조장과 소상공인, 청년 셰프, 예술가 등 지역 생활 주체들이 중심이 되는 축제 운영 모델을 구축해왔다. 단순한 행사 운영을 넘어 지역 상권과 문화의 순환 구조를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강릉비치비어페스티벌’은 매년 여름 경포해변 일대에서 열리는 수제맥주와 음악 중심의 축제다. 2023년에는 전국 18개 브루어리와 강릉 로컬푸드·공방팀 등 40개 업체가 참여했으며, 약 4만 명의 방문객이 다녀갔다. 2024년에는 참가업체가 50여 곳으로 늘고 방문객이 5만 명을 넘어서면서 지역의 대표 여름 축제로 자리잡았다.
축제 기간 동안 지역 양조장과 음식점, 공방이 운영한 부스에는 지역 소비가 이어졌고, 플리마켓과 DJ파티, 버스킹 등 시민참여형 프로그램이 병행됐다. 다회용기 사용과 잔반 회수 등 환경을 고려한 운영방식도 도입돼, 지역 축제의 지속가능성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봄철에는 교1동 하슬라로 일대에서 ‘솔올블라썸’이 열린다. 교동의 옛 지명 ‘솔올’을 내세운 이 행사는 벚꽃 개화 시기에 맞춰 지역 상권이 함께 참여하는 도심형 벚꽃축제로, 2023년 첫 개최 이후 매년 규모가 커지고 있다. 올해는 약 4만 명이 행사장을 찾았으며, 주민이 주도한 프로그램과 플리마켓 운영을 통해 지역경제 순환 효과를 만들었다.
이스트라이프의 최진영 대표는 “강릉은 더 이상 관광객을 위한 무대가 아니라, 로컬이 문화를 만들어가는 도시로 변화하고 있다”며 ““축제가 끝난 뒤에도 예술가, 셰프, 상인, 시민이 관계와 배움을 이어가며 지속 가능한 로컬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것이 목표이며, 이를 통해 시민이 주인공이 되는 강릉형 문화 플랫폼을 완성해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