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3일 발생한 비상계엄 당시 계엄군이 국회에 진입하면서 사전에 누군가로부터 도움을 받았을 가능성이 크다는 의혹이 국회 국정감사장에서 제기됐다.
국회 더불어민주당 운영위원회 이훈기 의원(인천 남동을)은 5일 국회 사무처 국정감사에서 계엄군이 국회에 진입하기위해 특정장소의 유리창을 깨고 진입하는 장면에서 “왜 하필 해당 장소를 국회로 들어가는 진입 통로로 삼았는지 의구심이 든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해당 장소는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실로 결국 누군가가 이곳을 국회로 들어가는 통로로 확보하게금 위치를 사전에 알려 주었다고 볼 수 있다”며 “앞서 동료 의원 질의에서 당시 국회에 출입하던 국방부 협력관들의 인사 명령 일자가 석연치 않다는 문제제기가 있었던 만큼, 이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혹시 사무처에서 파악하고 있는 추가 정황이 있느냐?”고 물었다.
이에 대해 김민기 사무총장은 “사실 국회에는 진입하고자 하면 쉽게 깰수 있는 창문이 여러 곳에 있다”며 “깨기도 어려운 해당 장소를 왜 선택했을까 의문을 갖기는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부분에 대해서는 특검에서도 수사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소상하게 앞뒤 사정이 밝혀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당시 분전반을 통해 국회에 단전을 시도했다 실패한 것으로 알려진 당시의 계엄군의 행동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국회에서 분전반은 눈에 잘 띄지 않는다”며 “국회에서 계엄 해제안이 가결됐는데도 불구하고 특정 장소를 찾아 단전을 시도했다는 데서 상당한 의도성이 엿보인다”고 말했다. 계엄군의 행동이 누군가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잘 짜놓았던 각본이었다는 주장이다.
김 사무총장은 이에 대해서도 “사실 계엄군이 건드린 분전반이 국회 분전반 가운데 겉으로 드러난 유일한 분전반”이라며 “몇 개층을 엘리베이터로 오르내리다가 지하로 내려가 단전을 시도한 당시 계엄군의 해동에도 상당한 의구심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이에대해 “해당 사항도 특검이 수사를 통해 밝혀야 한다”며 당시 국회에 출입하던 국방부 협력관들의 존재와 결부해 “통로 확보를 위해 유리창을 깬 장소가 민주당이나 조국혁신당도 아닌 국민의힘 사무실이었다는 점 등과의 연계성을 특검이 제대로 수사해야한다”고 강조하며 이른바 ‘제3자 사전 동조설’을 제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