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지역이 극심한 가뭄으로 재난사태까지 선포된 가운데, 한국농어촌공사가 오봉저수지의 생활용수 공급 계약을 초과해 이행하면서 농민과 강릉 시민 모두가 피해를 입은 인재일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문금주 의원(고흥·보성·장흥·강진)이 농어촌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농어촌공사는 2023년 12월 강릉시와 오봉저수지 생활용수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2024년부터 일 7만㎥ 범위 내에서 생활용수를 공급하기로 했다. 그러나 2024년에는 일평균 96,412㎥, 2025년에는 일평균 93,651㎥를 공급하며 계약량을 초과해 생활용수를 공급했다. 또한 계약상 저수율이 40% 이하로 떨어질 경우 생활용수 공급량을 줄일 수 있도록 되어 있었음에도, 2025년 7월과 8월 오봉저수지 저수율이 각각 27.1%, 23.8%까지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생활용수를 각각 일 98,265㎥, 93,436㎥ 공급하며 계약을 초과했다. 같은 기간 농업용수 공급은 전년 대비 1,739,896㎥(약 174만㎥) 줄어들었다. 특히 농사에 물이 가장 필요한 7~8월 농업용수 공급량이 급감해 강릉지역 배추·무 재배 농가들이 극심한 피해를 입었다. 만약 농어촌공사가 계약대로 일 7
								더불어민주당 이훈기 의원(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은 10월 16일 국정감사에서, 삼성전자 기흥사업장에서 발생한 방사선 피폭사고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수사 지연과 ‘직업성 질병자’라는 표현을 사용한 데 대한 공개 사과를 요구했다. 이 의원은 감사장에 나온 오기환 고용노동부 경기지청장에게 피폭된 사진을 보여주며 “이게 직업성 질병이냐? 아니면 부상이냐?”고 따며 물었다. 이에 대해 오 지청장은 “저희들은 부상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이에 이 의원은 “그렇다면 왜 지난해 8월 보건진단 명령을 내릴 당시 ‘직업성 질병자’라는 표현을 썼느냐”며, “이 표현은 결국 법원이 삼성전자의 과태료를 취소해주는 단초가 되었다. 결국 삼성 측에 유리하게 작용했다”고 질타했다. 이어 “이 자리에서 사과하라”며 요구하고 “잘못된 표현부터 바로잡으라”고 요구했다. 해당 사고는 2023년 5월 27일, 삼성전자 기흥사업장에서 발생했다. 방사선 장비 작업 중 방사선이 누출돼 근로자 2명이 피폭됐으며, 두 사람 모두 6개월 이상 치료를 필요로 하는 상처를 입었다. 이는 「중대재해처벌법」상 명확한 중대산업재해 요건에 해당한다. 고용노동부는 이에따라 지난해 8월부터 지금까지 삼
								군 내에서 수두·말라리아 등 법정감염병 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매독 등 성병도 계속 발생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국방위원회 더불어민주당 황희 의원(서울 양천갑)이 국군의무사령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육군, 해군·해병대, 공군, 국방부 직할부대의 법정감염병 감염자는 총 43만6,451명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43만5,363명)를 제외한 법정감염병 감염자는 1,088명으로 수두, 결핵, 백일해 등 2급 법정감염병이 604명, 말라리아, 후천성면역결핍증, 쯔쯔가무시증 등 3급 법정감염병이 484명이었다. 각 군별로 보면, 육군이 908명으로 가장 많았고, 해군·해병대 103명, 국직부대 39명 순이었고 공군이 38명으로 가장 적었다. 감염병 등급 하향 조정된 코로나19를 제외한 감염 유형별로 보면, 수두 환자가 496명으로 45.6%를 차지했고, 이어 말라리아 325명(29.9%), 결핵 59명(5.4%), 매독 47명(4.3%), 후천성면역결핍증 46명(4.2%) 순으로 많았다. 이외에도 신증후군출혈열 환자 21명, C형 감염 15명, 쯔쯔가무시증 14명, B형 간염 9명,
								연말을 앞두고 각 지역에서 쌀 수매가를 둘러싼 농민단체와 농협 RPC 간 갈등이 이어지고, 쌀값 이중고가 심화되는 가운데, 정부가 농민에게 사들이는 정부 비축 수매가가 ‘쌀값 하한선’으로 작동할 뿐 아니라, 정부양곡이 주정ㆍ사료화로 전용되는 실태가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 이병진 의원(농해수위‧경기 평택을)이 17일(금)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연도별 정부 비축 수매가’ 자료에 따르면, 정부 수매가는 1t당 △'21년 185만 원에서 △'24년 158만 원으로 3년 새 27만 원 하락했다. 한편,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로부터 제출받은‘연도별 중도매인 판매가’자료에 따르면 시장 평균가 가격은 1t당 △'21년 285만 원, △'25년 263만 원 수준으로, 정부 수매가가 시장가의 약 60%에 머무는 것으로 확인됐다. 결국 정부 수매가가 지역 농축협과 RPC 매입가의 하향 기준점으로 작동하면서, 농민들의 쌀값 하락 악순환을 심화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더 심각한 문제는 정부 비축미의 용도 전환이다. 최근 4년간 정부 비축미 공급 현황을 보면, 군‧관수용은 5천t, 민수용은 35.8만t 감소한 반면, 주정용은 7.1만t, 사료용은 36.1만t 폭증했다.
								사료종자 수입액이 최근 5년 동안 30% 나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원택 의원 ( 군산 · 김제 · 부안을 ) 이 농촌진흥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 사료작물 종자 수입액은 지난 5 년간 30% 가까이 급증하면서 농가 부담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사료작물 종자 수입량은 2020 년 1 만 1,920 톤에서 2024 년 12,558 톤으로 약 5.3% 증가한 반면 , 수입액은 국제정세의 불안 등으로 인한 단가 상승 탓에 사료작물 종자 수입액은 2020 년 336 억원에서 2024 년 436 억원으로 29.8% 나 증가하며 , 재배 농가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 그럼에도 국내 생산기반이 부족해 전체 사료작물 종자의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 자급률은 2020 년 7.8%, 2021 년 6.6%, 2022 년 7.0%, 2023 년 7.4%, 2024 년 6.6% 로 10% 를 넘지 못하며 , 대부분을 해외 공급에 의존하고 있다 . 현재 국산 사료작물 종자는 한국농업기술진흥원과 국립종자원이 연간 1,000 톤 내외로 생산 · 공급하고 있으나 , 농진원의 종자 정선시
								주벨기에유럽연합 한국문화원(원장 김동은, 이하 문화원)이 오는 18일과 19일 양일간 브뤼셀 시내 중심에 위치한 문화원과 샤펠 광장에서 케이 컬처, 케이 뷰티, 케이 푸드, 케이 관광의 매력을 체험할 수 있는 대규모 축제 ‘언박싱 코리아: 스쿱 더 트렌드(Korea unboxed: Scoop the Trend)’를 개최한다.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리는 이번 행사는 케이 컬처의 인기를 케이 푸드, 케이 뷰티, 케이 관광 등과 연계하여 문화강국으로서의 대한민국 이미지를 다지는 동시에 우리 상품의 현지 판촉과 수출 지원 등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 브뤼셀 최대 관광명소인 벨기에왕립미술관 맞은편에 자리한 문화원은 ‘K-뷰티존’과 ‘K-관광존’으로, 200여 개의 트렌디한 상점 거리에 있는 샤펠 광장은 ‘K-컬처존’과 ‘K-푸드존’으로 탈바꿈한다. 샤펠 광장에 조성되는 ‘K-컬처존’에서는 넷플릭스 EU지사와 협업으로 ‘케이팝 데몬 헌터스 존’을 운영하여 다채로운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 방문객들은 애니메이션 주인공처럼 한복과 댕기머리 장식을 착용하고, 포토존에서 헌트릭스, 사자보이즈 등을 배경으로 사진 촬영도 할 수 있다. 또한, 최근 현지인의 관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국회의원 ( 법제사법위원회 ) 은 16 일 감사원 국정감사에서 21 그램 대표 김태영의 증언을 통해 “ 대통령 관저 2 층에 다다미방과 히노키탕 , 스크린골프장이 설치된 충격적인 사실이 드러났다 ” 며 “ 국민 세금으로 조성된 관저가 사적 취향 공간으로 변했는데도 감사원이 이를 전혀 파악하지 못했다는 것은 명백한 감사 부실 ” 이라고 강하게 질타했다 . 서 의원은 “21 그램이 대통령실 연락을 받고 공사를 맡았지만 , 누가 소개했는지는 모른다 ’ 고 진술했다 ” 며 “ 감사원이 이런 기본 경위조차 규명하지 못했다면 그것은 감사가 아니라 눈감기 행정 ” 이라고 비판했다 . 특히 서 의원은 “ 증축 권한도 없는 21 그램이 다른 시공업체를 통해 증축을 진행됐고 , 그 안에 다다미방 · 히노키탕 · 스크린골프장 등이 있었다 ” 며 " 김건희와 거래 관계가 있던 업체가 관저 증축까지 맡은 건 부적절하다 " 고 지적했다 이어 “ 감사원이 현장을 보고도 이를 몰랐다면 무능이고 , 알고도 덮었다면 직무유기 ” 라고 질타했다 . 이에 대해 최재해 감사원장은 " 관저 감사는 1·2 차로 나누어 진행됐으며 , 1 차 감사 당시에는 1 급 보안시설이어서 관저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 고창군 윤준병 국회의원 ( 더불어민주당 ,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 이 해양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5 년여간 해경이 압수한 마약류는 우리나라 전체 국민이 투약하고도 남을 정도의 양으로 밝혀졌다 . 지난 4 월 강릉 옥계항에서 국외 벌크선에 불법마약류 코카인 1.7 톤을 밀반입하다 14 명이 적발된 사건을 볼 때 해경이 압수한 마약량은 그 자체로도 충격이 아닐 수 없다 . 우리나라가 마약에 심각하게 노출되어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 2020 년부터 올해 8 월까지 5 년여간 해경이 압수한 필로폰 , 대마 , 코카인 등 마약류 ( 양귀비 제외 ) 압수량은 총 2,358kg 이다 . 유형별로 보면 코카인이 2,347kg 으로 월등히 많았고 , 대마가 10kg, 필로폰이 1kg 순이다 . 이외에 합성대마 , 케타민 , 야바 등과 같은 마약류도 2kg 이나 차지했다 . 압수한 마약류 가운데 1 회 투약량을 산정할 수 없는 대마나 합성대마 등의 마약류를 제외하고 필로폰과 코카인을 1 인 1 회 투약량 (0g) 으로 계산할 때 해경이 지난 5 년여간 압수한 필로폰과 코카인은 무려 5,666 만 7,000 여명이
								국가 핵심 기술을 다루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항우연 ) 에서 퇴직 예정자가 주말에 연구용 컴퓨터를 외부로 반출했지만 , 기관은 사건 발생 후 한 달 반이 지나서야 이를 인지한 것으로 드러났다 . 나급 보안기관인 항우연이 기초적인 보안 관리조차 작동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 16 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최민희 위원장 ( 더불어민주당 ) 에 따르면 , 항우연 위성우주탐사연구소 소속 A 연구원은 퇴직 2 주 전인 지난 8 월 16 일 , 남편과 함께 본관 건물에 출입해 자신이 사용하던 PC 와 모니터 등 다수의 장비를 외부로 반출했다 . 항우연은 외부인 출입이 제한된 보안기관임에도 당시 어떠한 제지나 확인 절차도 이뤄지지 않았다 . 이 사건은 9 월 30 일 최민희 위원장이 관련 자료 제출을 요구하면서 처음 드러났다 . 항우연은 그제서야 내부 확인에 착수해 퇴직자에 의한 PC 반출 정황을 파악했으며 , 다음날인 10 월 1 일 감사부와 보안부서 간 협의를 진행하고 원장에게 보고했다 . 이어 10 월 2 일 우주항공청과 국가정보원에 관련 사실을 공식 보고했다 . 이후 항우연은 관련법에 따라 해당 사안을 상급기관인 우주항공청에 보고했으며 ,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휘영, 이하 문체부)는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장동광, 이하 공진원)과 함께 10월 21일(화)부터 26일(일)까지를 ‘2025 한복문화주간’으로 지정하고 전국 주요 거점에서 다양한 한복문화 행사를 진행한다. 올해로 8회를 맞이한 ‘한복문화주간’은 매년 10월 21일 ‘한복의 날’을 중심으로 열리는 행사다. 올해는 ‘현대 한복판(Modern Hanbokpan, the Center of K-Culture)’을 주제로 한복의 전통미와 현대적 감각이 만나 새롭게 확장되는 오늘날 한복문화를 조명한다. 먼저 ‘한복의 날’인 10월 21일에는 의정부지 역사유적광장에서 한복 분야 유공자 시상식과 한복 패션쇼, 축하 공연 등 ‘한복문화주간’ 기념행사를 개최한다. ‘일상유희(Portrait of Happiness)’를 주제로 열리는 한복 패션쇼에서는 오랜 세월 우리 민족의 흥(興)‧재(才)‧색(色)‧미(美)를 품고 발전해 왔으며, 오늘날 ‘케이-컬처’로 전성기를 맞이한 우리 전통문화를 한복에 담아 표현한다. 총 6개 브랜드가 참여하며, 전통을 지켜온 선배들과 동시대적 감각으로 한복을 재해석한 후배들이 팀을 이뤄 패션쇼를 구성한다. 모델 스테파니
								지난해 경찰관 비위로 인한 징계 건수가 500건을 넘었지만, 이제까지 경찰청이 내놓은 반부패 대책은 사실상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6일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을)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4년간 경찰공무원 징계 건수는 2021년 493건, 2022년 471건, 2023년 486건, 2024년 536건으로 2022년 이후 증가세를 보였다. 하지만 지난 2012년부터 감찰 행정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겠다며 설치한 시민감찰위원회 개최 건수는 2021년 22건에서 2022년과 2023년 21건, 2024년 15건, 2025년 상반기 1건으로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심지어 울산ㆍ충북ㆍ충남ㆍ경남청은 2021년부터 올해 6월까지 단 한 차례도 시민감찰위원회를 개최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외부 반부패 전문가가 참여하는 시민감찰위원회는 본청과 시도경찰청별로 설치돼 있고, 규정상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2개월마다 1회 정기 회의를 개최해야 한다. 해당 위원회에서는 직무 관련 금품ㆍ향응 수수, 공금횡령ㆍ유용, 성희롱ㆍ성폭력 등 주요 비위 사건에 대해 심의하고 경찰청장 또는 시ㆍ도경찰청장에게 필요한 조치를 권고할
								더불어민주당 박균택 국회의원 ( 광주 광산구갑 ) 이 15 일 감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 2023 년도와 2024 년도의 ‘ 감사원 감사 활동 모니터링 등 설문조사 결과보고서 ’ 에 따르면 감사원 피감기관들의 감사원 평가는 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 해당 조사는 ▲ 감사관의 전문성 , ▲ 감사업무의 공정성 , ▲ 감사관의 감사 태도 , ▲ 감사부담의 최소화 등 총 4 개 영역으로 이뤄져 있는데 , 2024 년도 결과는 전년도에 비해 모든 영역이 감점되면서 평균점수인 ‘ 종합만족도 ’ 역시 70.1 점에서 64.8 점으로 , 5.3 점이 하락했다 . 법령과 절차의 숙지 및 업무 이해도 등을 뜻하는 ‘ 감사관의 전문성 ’ 은 67.1 점에서 61.6 점으로 , 특정 집단에 대한 편향성과 피감자 의견 청취 여부 등을 측정하는 ‘ 감사업무의 공정성 ’ 은 71.4 점에서 66.9 점으로 떨어졌다 . 감사관의 고압적 태도나 강요 , 폭언 여부가 반영되는 ‘ 감사관의 태도 ’ 는 78.7 점에서 73.2 점으로 , 자료 요구량과 인원 및 기간의 적정성 등을 뜻하는 ‘ 감사부담의 최소화 ’ 는 63.2 점에서 57.6 으로 하락했다 . 4 개 항목의 순위는 2 년 연
								국가유산청이 대규모의 장기 국가사업인 ‘ 백제왕도 핵심유적 복원 · 정비 사업 ’ 을 추진하면서 , 근거 법률과 전담 조직도 없는 주먹구구 방식으로 시행하고 있어 사업에 차질을 빚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박수현 의원 ( 더불어민주당 / 충남 공주 · 부여 · 청양 ) 이 15 일 국가유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 백제왕도 핵심유적 복원 · 정비사업 추진현황 ’ 자료에 따르면 , 2017 년 백제왕도 사업추진단이 설립된 이래 2026 년 ( 정부안 ) 까지 10 년간 필요한 예산 대비 실제 확보한 예산 비율은 59.4% 에 그쳤다 ( 국비 기준 , 이하 동일 ) . 금액으로 보면 , 사업추진을 위해 필요한 국비가 7,152 억 원인데 반해 , 실제 확보액은 4,207 억 원이다 . 반면 , 2017 년부터 집행률 통계가 산출되는 2024 년까지 평균 예산 집행률은 78.1% 에 불과했다 . 예산 확보에 난항을 겪으면서도 어렵게 확보한 국비조차 제대로 집행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 ‘ 백제왕도 핵심유적 복원 · 정비 사업 ’ 은 총사업비 1 조 4,028 억 원 ( 국비 9,317 억 원 , 지방비 4,711 억 원 ), 사업 기간은
								정부가 전력망만 선점한 채 사업을 지연하는 이른바 ‘알박기 사업장’ 정리에 착수한 가운데, 사업 지연으로 미사용 중인 전력망 용량이 1만6천MW(신규 원전 16호기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안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장, 전북 완주·진안·무주)이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한전과 송전용 전기설비 이용계약을 체결한 뒤 사업개시일을 초과한 발전사업은 총 393건(16,208MW)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개시일을 초과해 상업운전이 지연된 발전사업은 해마다 빠르게 증가했다. 2021년에 1건에 불과하던 지연 사례가 2025년 171건으로 급증했으며, 이에 따른 미사용 용량도 39.6MW에서 9,209MW로 크게 늘었다. 불과 5년 만에 미사용 전력망 용량이 230배 급증한 셈이다. 에너지원별 용량은 △풍력 8,474MW(52.28%) △태양광 3,982MW(24.57%) △열병합 1,844.4MW(11.38%) 등으로 나타났다. 평균 사업 지연일수는 △풍력이 1,964일(5.3년)로 가장 길었고, △연료전지 1,206일(3.3년) △태양광 1,067일(2.9년) △열병합 523일(1.4년
								사이버 침해사고 대응을 총괄하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임직원들이 KT와 롯데카드의 대규모 해킹 피해가 연이어 발생하던 8월 초부터 9월 중순 사이, 단체 워크숍을 기획하고 다녀온 사실이 확인됐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간사인 더불어민주당 김현 의원이 KISA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KISA 임직원 62명은 9월 18일부터 19일까지 1박 2일간 제주도에서 ‘노사 화합 워크숍’을 진행했다. 전체 정규직 500명(2025년 6월 기준) 중 12%가 넘는 인원이 출장을 이유로 자리를 비운 셈이다. 이들은 개별 항공편으로 이동해 호텔에서 ‘노사 화합의 밤’ 행사를 열었으며, 기관은 이를 위해 1,014만 원의 예산을 집행했다. 노동조합 소속 직원 48명의 여비는 조합비로 처리한 것으로 확인됐다. 문제는 워크숍 일정이 해킹 피해가 본격적으로 드러난 시점과 정확히 맞물렸다는 점이다. 워크숍이 열린 9월 18일은 롯데카드가 297만여 명의 회원 정보 유출을 공개 사과한 날이자, KT가 서버 침해 흔적 4건과 의심 정황 2건을 KISA에 신고한 날이었다. 부처는 9월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KT 무단 소액결제 침해사고 관련 브리핑을 하고 이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