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경기도본부(사무국장 노정승)는 지난27일 전화예찰요원들의 농장예찰업무의 전문역량 강화를 위해 경기도 축산위생연구소를 방문하여 전문교육을 받았다고 밝혔다.교육은 전화예찰요원 28명이 참여했으며, 강의는 연구소 박경애 팀장이 주요가축질병에 대한 임상증상 특징을 보다 간결하게 설명하였으며, 축산농가와의 전화예찰 시 임상증상 예찰방법에 대해서도 강의했다. 또한, 정밀진단팀 검사실을 방문하여 검사 과정에 대해 교육을 받았다.교육에 앞서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 임병규 소장은 시험소를 찾은 전화예찰요원들에게 “매월 2회씩 모든 가축 사육농가를 대상으로 정기적인 예찰과 가축전염병 예방수칙 등에 대한 안내도 중요하지만 축산농가가 스스로 자율방역을 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홍보해 줄 것”을 당부했다.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경기도본부(사무국장 노정승)는지난 16일과 20일 소·돼지 등 우제류 사육농가를 대상으로 구제역 등 악성가축전염병 유입 방지 및 재발 방지를 중심으로 “가축방역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경기도 가평군과 남양주시 축산농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교육은 경기도청 동물방역위생과 이규현 팀장이 정부의 가축방역정책에 대하여 설명하고, 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방역질병부 문진산 수의연구관이 소 질병증상 및 예방대책에 대하여 교육했다.노정승 국장은 “구제역 등 주요악성가축전염병에 대한 사전예방을 위해서는 가축방역기관의 효율적인 정책과 함께 농가들의 자발적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구제역 재발방지를 위해서는 올바른 접종방법으로 빠짐없이 백신을 접종하고 농장소독 및 차단방역을 반드시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아울러 농가에서는 가축의 임상증상을 수시로 살펴보고, 구제역 의심축을 발견 시에는 즉시 가축방역기관에 신고(1588-9060, 1588-4060)해 줄 것을 당부했다.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경기도본부(도본부장 이성식)는16일 가축위생방역업무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하여 “도본부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이번 회의에는 경기도 북부청사 이규현 가축방역팀장, 경기도 축산위생연구소 임병규 소장, 경기도 북부축산위생연구소 허섭 소장, 농협 경기지역본부 이승훈 축산사업팀장, 대한한돈협회 손종서 경기도지회장, 대한양계협회 이영재 경기도지회장, 도드람LPC 이상일 이사 등이 참석하였다협의회의원들은 지난 1월16일 전북 고창에서 고병원성 AI 발생이 경기도에서도 발생됨에 따라 축산농가가 고초를 겪은 것에 대하여 안타까움을 토로했으며, 의심축 신고 시 긴급출동하여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초동방역팀 활동에 대하여 방역사들의 노고에 감사했다.또한 최근 유행하는 돼지유행성설사병(PED)이 전국에 발생되고 있어 전화예찰 시 양돈농가의 철저한 소독 및 백신접종을 홍보하고, 주요가축전염병 청정화를 위해서는 사전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데 의견을 함께 하고 방역 유관기관 및 생산자단체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통해 슬기롭게 대처해 나가자는데 의견을 함께 했다.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경기도본부는 지난 6월 26일공정하고 투명한 직무수행을 위한 “부조리 척결 결의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이날 결의대회에서는 부조리 척결과 위생방역본부 직원으로서 제 규정을 준수하고, 공정하고 투명하게 직무를 수행한다는 결의문 낭독과 서약식이 있었으며, 아울러 정부의 업무를 수행하는 공공기관의 직원으로서 행동강령 준수 및 공직윤리 확립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였다.경기도본부 노정승 사무국장은 “이번 결의대회를 통해 가축질병 청정화 및 축산물 안전을 위한 공익업무 수행 시 스스로의 자정(自淨)노력을 통해 공명정대한 사업을 펼침으로서 축산농가의 경제적 손실 예방 및 경쟁력 제고에 앞장서 줄 것”을 당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