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라이크코리아가 서울대학교 산업동물임상교육연수원과 연구 협력을 통해 ‘일본 수의학회’(JSVS)에서 발행하는 SCI급 국제학술지에 공동논문이 정식으로 게재되었다고 21일 밝혔다. 유라이크코리아는 5억건 이상의 가축 질병 생체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축 질병과 법정전염병을 전문 연구하는 ‘라이브케어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운영 중인 국내 대표적인 스마트 축산 ICT전문기업이다. ‘일본 수의학회’에서 발행하는 SCI급 국제학술지에 공동논문이 정식으로 게재된 것은 지난 6월에 체결한 양 기관간의 산·학 연구협력의 결과물이다. 해당 논문은 “Evaluation of ruminal motility using an indwelling 3-axis accelerometer in 4 the reticulum in cattle”이라는 제목으로 일본 수의학회 저널(The Journal of Veterinary Medical Science)에 게재되었다. 유라이크코리아 김희진 대표는 “서울대학교 수의학과 김단일 교수 연구팀을 주축으로 유라이크코리아의 연구진이 협력하여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에서 ‘질병 조기감지와 농가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반추위 운동성의 원격 평가’에 대한 공동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서울대학교와 공동 연구를 통해 닭의 정자·난자의 바탕이 되는 세포, 원시생식세포의 생존 능력과 안정성을 조절하는 핵심 유전자를 세계 최초로 찾는데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국립축산과학원 연구진은 “닭 원시생식세포를 사용하면 형질전환 닭을 가장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며 “후대를 생산할 수 있는 원시생식세포는 자신의 유전자를 보호하기 위해 체세포와는 다른 독특한 유전자 발현 패턴을 지닌다”고 밝혔다. 이에 연구진은 닭 원시생식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유전자를 확인하고, 이를 ‘Cyclin F like’ 유전자로 명명했다고 밝혔다. ‘Cyclin F like’ 유전자의 발현을 막을 경우, 닭 원시생식세포는 DNA가 심각하게 손상되고 세포가 사멸되는 것이 관찰됐으며 전능성 전사인자의 일종인 NANOG에 의해 강력하게 조절됐다고 전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성과로 유전자 마커를 통해 닭 원시생식세포 유래 생식세포주의 품질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하며 “품질이 확인된 생식세포주는 닭 형질전환 연구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더불어 생식세포 매개 고효율 유전자원보존 기술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농촌진흥
농협중앙회 축산연구원(원장 고종열, 이하 축산연구원)과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동물생명공학부(학부장 이창규)는28일 서울대학교 대회의실에서 축산업 발전의 선진화를 위한 학술교류 및 연구개발과 관련하여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다.이번 업무협약 체결의 주요 내용은 새로운 축산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대외협력을 위한 물적자원의 공동활용 및 정보교환, 기타 상호 관심분야에 대해 공동으로 협력한다는 것이다.축산연구원 고종열 원장은“농협중앙회 축산연구원과 서울대학교의 이번 협약으로 국내외적으로 어려운 현실에 직면한 축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농가의 소득향상에 이바지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