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미엄급 신선농산물 수출로 농산물 수출 선진국 도약
한국 농식품 수출은 과거에는 과잉생산된 품목을 저가에 주로 일본, 홍콩 등 근거리에 해상으로 수출하는 후진국형 이었으나, 최근에는 고가 프리미엄 상품을 항공수출을 통해 장거리로 수출하는 선진국형으로 바뀌고 있다.aT의 수출통계에 따르면 실제로 최근 10년간의 신선농산물 수출품목 중 오이, 가지 같은 노동력이 많이 들고 가격이 낮은 품목은 수출이 감소하였고, 파프리카, 딸기, 토마토, 버섯 같은 고소득 작물의 수출이 증가하였다.특히, 딸기는 최근 10년간 7배 이상의 수출(`04년 4,166천불 → `13년 29,808천불)을 보여 단일품목으로는 가장 높은 수출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동남아, 러시아, 아랍에미레이트 등 전세계 18개국으로 수출되어 한국 신선농산물의 선진국 도약을 이끌고 있다.과거 채소류 수출은 신선도 문제로 근거리인 일본(85%)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최근 대만, 싱가폴, 홍콩 등 동남아 국가와 미국, 캐나다, 유럽 등 장거리 국가로도 수출되는 이유는 항공을 이용한 신선도 유지와 고급품 이미지로 해외에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농산물 항공수출 확대를 위해 aT는 2012년말 대한항공과 MOU를 통해 농산물 수출 항공물류비를 낮추는 지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