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4 (일)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낙농

우유 16만kg 생산 최고 슈퍼카우 탄생

양산 애린목장 ‘애린35호’…부산 전체 초등생에게 우유 1ℓ 공급한 셈

 

2014년 유우군능력검정사업 종합평가 결과, 79년 유우군능력검정사업을 시작한 이래 약 1백만두의 참여 젖소 중 최고 우유생산 신기록이 나왔다. 경남 양산시 애린목장(목장주 김문일)에서 사육중인“애린35호”가 바로 그 주인공.“애린 35호”는‘13년도에 이어 생애 우유 생산량 부문 최고소로 또 다시 선정되었다. 

 

“애린 35호”는 2000년 12월 10일 태어나서 4,057일 동안 총 169,899kg (200ml 우유 850천개 분량)의 우유를 생산하였는데, 이것은 인근 부산지역 전체 초등학생 15만5천여명(2014년 기준)에게 200ml 우유 5개씩을 나누어 먹일 수 있는 분량에 해당된다.

 

생애 생산 유량 16만kg을 초과하는 슈퍼카우는 그간 우리나라에 단 3마리가 있었는데 지금은 모두 도태된 상태이다. 기존 최고 기록은 2013년 민성목장(경기 이천 소재) 20호가 12산차에 165,439Kg이었는데, 이번“애린 35호”는 그 기록을 4,460Kg 뛰어넘었고 앞으로도 우유를 더 생산할 수 있도록 다음 산차 번식을 준비하고 있어 계속적인 기록갱신이 예상된다.

 

애린 35호는 또한 좋은 품질의 우유를 생산하였는데, 평균 149천cell/ml의 체세포수로 1등급 우유를 지속적으로 생산하기도 하였다.

 

보통 우리나라 젖소는 태어나서 27개월 이후에 첫 번째 송아지를 낳고  우유를 생산하기 시작하여 출산과 우유생산을 2~3회 반복하다가 도태되는데, 생애 기간동안 평균 26,933Kg정도의 우유를 생산하고 있다. 

 “애린 35호”의 생애 생산유량 169,899kg은 젖소 6마리가 생산해 낼 수 있는 분량의 우유로, 첫 번째 우유를 생산하는데 걸리는 27개월의 사양 기간과 사료비가 소요되지 않고 더불어 그 기간(육성기 27개월) 중에 생기는 분뇨 또한 발생되지 않아 낙농가 생산비 절감은 물론 환경적으로도 우수한 친환경 젖소라 할 수 있다.

 

“애린 35호”는 성품이 온순하여 목장에서 사육하기에 장점이 많은 젖소로 이 소의 소유주(목장주 김문일)는 우리나라 목장의 많은 젖소들이 발굽질병으로 도태되는 경우가 많은데 애린 35호의 경우 4산차에 이를 때까지 돈을 들여 발톱손질을 해 본적이 없다고 전했다. 올해 14세(168개월)인 이 젖소는 7번의 송아지를 분만하였는데 그 중 2번만이 암송아지여서 우유를 생산해 줄 후보 암소를 많이 남기지 못한 아쉬움이 남는다. 

 

이밖에 생애 유량 우수생산우로는 가람목장(목장주 신병국)의 “가람 111호”가 154,544kg로 2001년 9월 태어나서 8번의 새끼를 낳았으며,  대광목장(목장주 김병용) “대광 791호”가 151,739kg으로 2003년 10월 태어나 8번의 새끼를 낳았다.

 

농협중앙회 젖소개량사업소(소장 차인근)는 우리나라 젖소의 생산성과 장수성을 늘려감으로써 낙농가가 다두 사육으로 많은 사양비와 노동력을 투자하는 대신 적정한 사육두수로 효율성을 높여갈 수 있도록 정부 지원을 받아 유우군능력검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을 통하여 매년 우수 젖소를 발굴하고 이러한 우수 암소를 우리나라 한국형 씨종자로 사용하여 목장에 우수 젖소를 다량 번식시키는 개량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15만kg 이상을 생산하는 슈퍼카우들은 대체로 우유 생산량이 많으면서도 유질면에서 최상위 등급의 원유를 생산하고 있으며, 더불어 질병에 매우 강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어 번식을 통해 우수 송아지를 생산하는 중요한 낙농자원이기도 하다. 

 

우리 낙농산업은 ‘65년 고작 6천두의 젖소를 사육하였으나,‘14년말 현재 사육두수가 43만두로 크게 늘어나면서 아시아에서 이스라엘, 일본에 이어 3번째 우유식량 자립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배너
배너

포토이슈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