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3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농업 / 산림

귀농 5년차 연소득 3,895만원…소득 적어 농업외 경제활동


농식품부 2014~2018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귀농귀촌 준비기간 평균 25.1개월 소요

귀농 59.9% 귀촌가구 21.1%만 교육 이수

10가구중 8가구 연고있는 농촌에서 정착

10가구중 6가구 농촌생활에 대부분 만족


귀농 1년차 가구소득은 2,828만원이며, 귀농 이후 5년차엔 3,895만원으로 귀농전 평균 가구소득인 4,400만원의 88.5% 수준으로 회복됐다. 귀촌 전 평균 가구소득은 4,038만원으로 4년차 4,058만원에 도달해 귀촌전 소득을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귀농가구의 48.6%가 농업소득 부족 등의 이유로 농업외 경제활동을 수행중에 있다. 귀농·귀촌한 이들중 84%는 연고가 있는 곳에 정착했으며 열명중 여섯은 귀농·귀촌 후의 생활에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답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26일 최근 5년(2014년~2018년)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귀농귀촌 유형 =10가구중 7~8가구는 농촌에 연고가 있거나 거주했던 경험이 있었다. 귀농 54.4%, 귀촌 29.5%가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있는 농촌 이주인 이른바 U턴형이며,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없는 농촌이주인 J턴형은 귀농 21.5%, 귀촌 27.7%였다. 또한 도시에서 태어나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하는 I형은 귀농 7.4%, 귀촌 10.8%였다.

다만 귀촌 가구의 31.9%는 도시에서 태어나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 이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 준비 = 귀농준비에는 평균적으로 25.1개월이 소요됐다. 준비기간 동안 정착지역 탐색(40.7%), 주거·농지 탐색(32.5%), 귀농 교육(12.8%) 등을 수행하고 귀농가구의 59.9%, 귀촌가구의 21.1%가 온-오프라인, 선도농가 인턴십 등 교육을 이수했다. 귀농귀촌 교육에서 가장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다양한 교육 콘텐츠 개발(28.6%), 현장실습 연계 강화(20.3%)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상당수의 귀농귀촌 가구들은 주요 정보취득 경로로 가족 또는 지인(귀농 56.8%, 귀촌 60.7%)에게서 습득하고 있으며 귀농귀촌 정책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귀농가구 27.3%, 귀촌가구 41.7%가 정보획득의 어려움을 꼽았다.


귀농귀촌 전·후 소득 변화 = 귀농 1년차 가구소득은 2,828만원이며, 귀농 이후 5년차(3,895만원)까지 귀농전 평균 가구소득(4,400만원)의 88.5% 수준으로 회복했다. 귀농 가구의 48.6%가 농업소득 부족 등의 이유로 농업외 경제활동을 수행하고 있었다. 농업외 경제활동으로는 직장취업(24.6%), 농산물·가공식품 직접 판매(23.8), 임시직(21.9), 자영업(17.9), 비농업부문 일용직(12.7), 농업 임금노동(10.0) 등을 수행중이다.
귀촌전 평균 가구소득은 4,038만원으로 4년차(4,058만원)에 귀촌전 소득을 회복했다. 



■ 귀농귀촌 전·후 지출 =귀농귀촌전 월 평균 생활비는 귀농가구 282만원, 귀촌가구 259만원 수준이나, 귀농귀촌후 귀농가구 201만원, 귀촌가구 213만원으로 조사됐다. 생활비는 주로 식비(38.6%/51.9%), 주거·광열·수도·전기(20.3/16.9), 교통통신비(13.7/6.3), 교육비(10.9/12.3), 건강·의료소비(9.8/4.7), 문화·여가생활비(4.5/7.0) 순으로 지출되고 있었다.
   
■ 귀농귀촌 후 생활 =거주 주택의 종류는 농가주택을 포함한 단독주택(귀농 86.0%, 귀촌 53.0%), 아파트·연립주택(귀농 9.3%, 귀촌 44.0%)순으로 조사됐다. 점유형태는 자가(귀농 75.6%, 귀촌 59.5%), 전월세(귀농 17.5%, 귀촌 35.5%), 지원정책 활용(마을 내 빈집, 귀농인의 집 등 임시거주(귀농 4.4%, 귀촌 3.0%) 순으로 조사됐다.

귀농·귀촌 10가구중 6가구(귀농 57.8%, 귀촌 67.0%)가 생활에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었으며 개선해야 할 것으로 문화·체육서비스를 가장 많이 꼽았고, 취약계층 일자리, 노인돌봄서비스, 교통서비스 등으로 나타났다. 


■ 정부대책=농식품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반영해 정책 추진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귀농귀촌인 대부분이 농업기술센터에 교육을 의존하나, 그간 기술센터가 제공하는 귀농귀촌 교육은 양적, 질적 측면에서 수요에 미치지 못했다고 판단, 교육 수요가 집중되는 도시지역 귀농귀촌 교육을 중점 개선하기로 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전국 시·군 농업기술센터를 통해 주민갈등, 정착실패 사례 등 농촌공동체 이해 및 귀농설계 교육을 보강하고, 특·광역시 및 기술센터가 없는 지역(13개 시·군)은 도시농협을 교육·상담 지원 창구로 활용해 자산관리·세제·금융 등 도시농협의 전문성을 살린 특화과정을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귀농귀촌 희망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도 맞춤형으로 제공한다.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사업’을 통해 만 40세 미만 청년 1,600명을 신규 선발하여 영농정착지원금과 창업자금(3억원 한도) 및 농지임대 우선지원, 영농기술 교육 등을 종합지원하고, ‘청년농 창업·투자 심층컨설팅 사업’을 신설하여, 일정규모(2억원) 이상 농업투자를 하려는 2040세대 농업인들의 투자 실패 최소화도 지원한다.


이와함께 시·군의 귀농귀촌 지원센터(71개소)를 중심으로 각 지역의 고용센터, 새일센터 등과 연계하여 귀농귀촌인의 취업을 지원하는 서비스도 전국으로 확대하며 지역거점 공공병원 시설·장비 현대화,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등 의료·보육 지원을 강화하고, 농어촌 학생 통학버스 지원, 공공·작은 도서관 확충 등 교육·문화 서비스 접근성을 보완키로 했다.

배너
배너

관련기사

포토이슈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