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름이 되면 무덥고 습한 날씨와 강한 자외선으로 인해 두피에 열이 오르면서 피지 분비가 활발해진다. 심하면 두피에 뾰루지가 나거나 가렵고 진물과 냄새가 나며 머리카락이 빠지기도 하는 등 두피와 모발 건강의 적신호가 켜질 수 있는데, 이러한 두피 염증 질환의 대표적인 것으로 지루성 두피염과 모낭염을 들 수 있다.
두 질환은 육안상 비슷해 보여서 혼동되기 쉽고, 탈모를 유발할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원인과 증상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으므로 감별 진단을 요한다.
지루성 두피염은 피부에 사는 곰팡이균으로 인해 생기는 습진의 일종으로, 특히 ‘말라세지아’라고 하는 곰팡이균이 주원인균이다. 말라세지아는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주로 서식하며, 피지와 각질을 먹고 번식하면서 뾰루지나 홍반, 각질, 가려움 등 다양한 증상을 야기한다.
모낭염은 피부의 곰팡이균이 많아지면서 정상균과 곰팡이균의 균형이 깨지게 되고, 더 나아가 피부장벽이 아예 무너지면서 발생한다. 2차적으로 곰팡이균 혹은 박테리아에 감염되거나 비정상적으로 많아진 곰팡이균들이 피부속으로 들어가 모낭에 아예 고름주머니를 만들게 되므로, 화농성 염증과 통증이 주증상이다. 특히 염증 부위에 경계가 명확한 탈모반을 형성하게 되고 심하면 영구적인 탈모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발머스한의원 안산점 김주현 원장은 ”모낭염은 지루성 두피염의 한 종류라고 할 수 있으며, 지루성 두피염이 더 큰 범주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지루성 두피염과 모낭염은 완치가 어려운데, 치료를 위해 항생제를 복용해도 원인균이 존재하는 피부 표면(각질층)에는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혈관이 분포하는 곳의 염증은 없어져도 피부 표면의 균은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서 다시 피부 속으로 들어가 염증을 유발하므로 재발을 거듭하면서 두피와 모발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따라서 균이 번식하기 쉬운 고온 다습하고 피지가 많은 환경 자체를 없애 주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김주현 원장은 “트레스, 과로, 수면부족, 육류 위주의 기름진 음식, 음주 등 두피로 열을 몰리게 하고 피지 분비를 늘리는 생활 환경을 개선하고 손상된 두피 장벽을 자극하지 않도록 약산성 샴푸로 매일 꼼꼼하게 머리를 감아야 한다. 그럼에도 두피염증이 탈모 증상으로 이어지는 등 심해지고, 나아지지 않으면 병원에 내원하여 의료진의 도움을 받는 게 좋고 한의학에서는 체열 조졀력과 면역 기능의 정상화를 위한 치료로 도움을 줄 수 있으니 다가오는 여름철, 건강한 두피 관리로 탈모를 예방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