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50대에 접어들면 어깨가 아프고 굳어지는 증상을 흔히 ‘오십견’이라 부른다. 정확한 의학적 명칭은 동결견 또는 유착성 관절낭염으로, 어깨 관절을 감싸는 조직에 염증과 유착이 생겨 움직임이 제한되는 질환이다. 주로 50대 전후에서 많이 발생하며, 초기에는 가벼운 불편감으로 시작되지만 점차 어깨 통증이 심해지고 움직임이 제한되면서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한다.
오십견은 팔을 바깥쪽으로 돌리는 외회전, 팔을 앞으로 드는 거상, 팔을 안쪽으로 돌리는 내회전 동작이 점차 어려워지는 특징이 있다. 많은 사람이 뒤쪽에 있는 물건을 잡으려 할 때 통증을 처음 경험하며, 점차 증상이 악화되면 팔을 들어 올리거나 뒤로 젖히는 것이 어려워진다. 특히 야간에 통증이 심해지는 '야간통'이 나타나며, 이로 인해 수면의 질이 저하되기도 한다.
오십견이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하나 대표적으로 퇴행성 변화, 운동 부족, 잘못된 자세, 당뇨병 등 기저질환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또한, 회전근개 파열이나 충돌증후군(어깨 힘줄 주변 염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특별한 이유 없이 관절낭에 염증이 생겨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 초음파나 MRI 검사가 필요하다.
현대정형외과의원 홍경진 원장은 “오십견 치료는 굳어진 어깨 관절을 풀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오십견 치료의 핵심은 관절을 빠르게 풀어주는 것이다. 이후 진행되는 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초기 관리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치료 방법으로는 약물치료, 주사치료, 수술적 치료 등이 있지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스트레칭을 통해 어깨의 유연성을 되찾는 것이다. 규칙적인 어깨 스트레칭과 함께 수영, 요가, 필라테스 같은 운동을 꾸준히 하면 어깨 관절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무리한 어깨 사용을 줄이고, 무거운 물건을 한쪽 어깨로만 드는 습관을 피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전했다.
홍경진 원장은 “대표적인 스트레칭 방법으로 벽을 활용한 스트레칭이 있다. 벽을 활용한 스트레칭으로 먼저, 벽을 마주 보고 서서 손과 팔꿈치를 벽에 밀착시켜 팔을 벽에 붙인 상태에서 천천히 위로 올려 어깨를 신전시키고, 올라가는 과정에서 통증이 느껴지면 멈춘다. 팔이 완전히 올라간 상태에서 무릎을 천천히 굽혀 어깨를 조금 더 늘려주고, 이 자세를 약 10초간 유지한 후 천천히 원래 자세로 돌아온다 스트레칭을 꾸준히 실천하면 증상을 완화하고 오십견을 예방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오십견은 초기에 관리하면 자연스럽게 호전될 가능성이 높지만, 방치하면 장기화될 수 있다. 어깨 통증이 지속되거나 팔의 움직임이 점점 제한된다면 조기에 병원을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