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가 공청회와 주민공람 중심의 전통적 방식에서 벗어나, 인공지능(AI)과 공간정보기술(GIS)을 활용해 365일 시민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시민참여형 행정모델을 개발했다.
시는 도시계획과 소속 정책연구팀이 공무원 정책 아이디어 경연대회에 출품한 ‘시민과 소통하는 생활 인천 방법론 개발’ 과제를 통해 이번 성과를 도출했다고 16일 밝혔다.
그동안 도시계획 수립 과정은 긴 절차와 한정된 참여 방식으로 인해 시민 의견을 충분히 담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공청회와 주민공람(14일) 제도는 형식적 절차에 머물러 실제 행정 계획에 반영되기까지는 제약이 많았다.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스마트폰, 컴퓨터, QR코드 등 다양한 기기를 활용해 언제 어디서나 참여할 수 있는 디지털 기반 시민 참여 플랫폼을 구상했다.
이 플랫폼은 먼저 GIS를 활용해 생활시설의 분포를 시각화하고, 시민 응답이 집중된 지역을 ‘핫 플레이스(Hot place)’로 분석한다.
이어 AI 기반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객관식·주관식 응답을 종합, 생활권·읍면동 단위별로 ‘Top 3 생활 인프라 수요’를 도출해 행정계획 수립 시 즉각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자연어처리(NLP) 기술을 적용해 시민이 남긴 자유 의견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와 주요 주제를 분석함으로써 지역 특성과 정서적 요구까지 반영할 수 있다.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해 주민센터를 통한 별도 참여 창구도 마련됐다.
시는 이를 통해 원도심·신도시·농어촌 등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생활권계획을 수립할 수 있으며, 기존의 고비용·저효율 구조에서 벗어나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행정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강유정 인천시 도시계획과장은 “이번 연구는 행정계획의 주인을 시민에게 되돌리는 첫걸음”이라며 “앞으로도 AI와 공간기술을 비롯한 다양한 방법론을 접목해 더 많은 시민 목소리를 체계적으로 반영하고,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