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공모를 앞두고 총력전에 나섰다.
군은 전담조직 신설과 조례 제정, 전문가 자문 등 체계적인 준비를 거쳐 이번 사업 유치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번 시범사업은 전국 69개 인구감소지역 중 6개 군을 선정해 군민 1인당 매월 15만원(연 180만원)을 지급하는 국가 정책이다.
접수는 이달 29일부터 10월 13일까지, 최종 결과는 10월 17일 발표된다.
순창군은 이미 지난 5월부터 발 빠르게 움직였다.
군은 기본소득 도입을 예상하고 예산 분석 등 실무 논의를 시작했으며, 지난 7월에는 전북 최초로 기본사회 T/F팀을 신설해 전담조직 체계를 갖췄다.
이어 전문가 자문을 통해 ‘순창형 농촌기본소득’ 모델을 마련하고, 국회와 중앙부처를 직접 찾아 사업 필요성을 설명하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이어왔다.
특히 군은 기본소득 지원 조례를 제정하고 10개 부서가 참여하는 기본소득 추진단을 꾸려 행정적 기반을 다졌다.
또 지난 7월부터 9월까지 국회·중앙부처·연구원 등을 14차례 이상 방문하며 사업 유치에 행정력을 집중했다.
앞으로는 군민 의견 수렴이 핵심이다.
오는 19일에는 사회단체가 주관하는 범군민 포럼이 열려 주민들의 목소리가 직접 반영된다.
이어 오는 24일에는 국회에서 열리는 농촌기본소득 우수사례 포럼에서 최영일 군수가 직접 ‘순창군 보편적 복지 정책’을 발표하며 전국에 순창의 준비성과 비전을 알릴 예정이다.
최 군수는 “농촌 기본소득은 군민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생활 복지정책”이라며 “시범지역 선정을 통해 열악한 농촌 현실을 개선하고, 순창이 농촌형 보편적 복지의 모범 사례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