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선급 노사(노조위원장 서정웅)가 2025년도 임금 및 단체협약을 타결하며 갈등 국면을 마무리했다.
20차례에 걸친 교섭 끝에 도출된 이번 합의는 임금체계의 합리화를 골자로 하며, 노사 간 신뢰 회복과 상생의 노사문화 정착을 위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노동조합은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일까지 실시한 조합원 투표에서 임금협약은 찬성률 72.8%, 단체협약은 95.1%의 높은 찬성률로 각각 가결됐다고 15일 밝혔다.
특히 단체협약의 압도적 찬성률은 내부 구성원들의 공감대가 상당히 형성됐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번 협약에는 평균임금 및 통상임금 산정 항목 확대를 비롯해 근무조건 개선과 복리후생 확충 방안이 담겼다.
이는 최근 공공기관 전반에서 강화되는 임금체계 투명성과 공정성 강화 기조와 맞닿아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 합의가 한국선급의 조직문화 개선뿐 아니라, 해양·공공부문 전반의 임금협상에도 일정한 파급효과를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서정웅 한국선급 노조위원장은 “노사 간 입장 차이를 좁히기 위해 끈질긴 대화와 타협을 이어왔다”며 “이번 합의를 계기로 상생의 노사문화를 공고히 하고, 구성원 모두가 성장하는 직장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전국해양수산노동조합연합(전해노련) 송명섭 의장은 “한국선급 노조의 임단협 타결은 준법투쟁 이후 노사관계 정상화를 이뤄낸 의미 있는 사례”라며 “신뢰와 협력의 노사문화가 해양수산 분야 전반으로 확산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전해노련은 해양수산부 산하 14개 공공기관 노동조합이 참여하는 대표 협의체로, 한국선급을 비롯해 부산항만공사·여수광양항만공사·울산항만공사·인천항만공사·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해양환경공단·한국수산자원공단·한국어촌어항공단·한국해운조합·한국해사위험물검사원·국립해양생물자원관·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한국해양진흥공사 등이 포함돼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협약을 두고 “공공기관 노사관계가 단순한 임금교섭을 넘어 조직문화와 인사제도의 합리화를 모색하는 단계로 진입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평가한다.
한 경제연구원 관계자는 “노사 간 협력적 파트너십이 강화될수록 기관의 신뢰도와 대외 경쟁력도 높아진다”며 “이번 합의가 해양산업계 전반의 노사관계 안정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