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오는 10월 28일 국회 정무위원회 종합감사 증인석에 설 예정이다. 이번 소환의 핵심 쟁점은 SK E&S와 SK오션플랜트 간 자금거래를 포함한 ‘계열사 지원성 거래’ 여부다. 정무위는 SK그룹의 내부자본 운용이 단순한 자금 효율화 차원을 넘어 계열사 유동성 지원 목적의 ‘지원성 거래’로 이어졌는지 집중 점검할 방침이다.
정무위는 특히 SK E&S가 2024년 10월 자회사 이엔에스시티가스부산㈜으로부터 약 70억 원을 차입한 거래를 문제 삼고 있다. 해당 거래는 외부 금융기관을 거치지 않은 계열사 간 직접 차입 형태로, 규모가 자기자본의 10%에 달한다. 정무위는 이를 단순한 내부 유동성 관리가 아닌 그룹 내 자금 순환 구조의 일환으로 보고 실질성을 따지려는 것이다.
플랜트 계열사인 SK오션플랜트 또한 매출채권 대부분이 SK E&S·삼강에스앤씨 등 그룹 내 관계사와의 거래에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삼강에스앤씨가 생산한 해상풍력 하부구조물이 다시 오션플랜트를 거쳐 내부 프로젝트로 납품되는 구조가 형성돼 있어, ‘EPC 밸류체인 내부 순환’이 공정위의 조사 범위로 확장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문제는 국감 일정이 APEC 일정과 겹친다는 점이다. 같은 날 경북 경주에서는 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28~31일)이 개막한다.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자 서밋 의장인 최 회장은 “국가 행사를 이유로 일정을 조정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SK그룹과 대한상의는 증인 신청을 주도한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과 여당 측에 증인 철회를 요청하는 등 전방위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하지만 강 의원은 여전히 철회에 부정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있어, 최 회장이 증인 명단에서 제외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관측이 나온다.
재계는 이번 국감이 단순한 ‘계열사 지원 논란’을 넘어 내부자본 운용의 실질성과 총수 책임의 경계선을 가르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공정거래위원회가 SK E&S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 계열사 간 자금 흐름을 별도 모니터링 중인 상황이어서, 국감 질의가 공정위 조사 및 공정경제 3법 개정 논의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