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힘찬병원이 마코로봇을 이용한 인공관절수술 분야에서 국내 의료기관 중 가장 많은 국제논문 발표 건수를 기록하며 로봇 인공관절수술의 선도적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고 전했다.
힘찬병원은 국내 병원 중 이례적으로 국내 인공관절수술로봇 시장에서 선두를 다투고 있는 한국스트라이커의 마코로봇과 짐머바이오메트코리아의 로사로봇 두 종류의 시스템을 모두 운용하며 광범위한 임상 데이터를 축적해왔다.
한국스트라이커와 짐머바이오메트코리아에 따르면 힘찬병원은 지난 2024년 12월 기준으로 마코로봇 11,514건, 로사로봇 1,500건을 시행했는데, 이는 국내 단일병원으로는 최다 건수다. 특히 한국스트라이커는 힘찬병원의 2023년과 2024년 마코로봇 무릎 인공관절수술 건수는 세계적으로도 최다 건수임을 밝힌 바 있다.
병원 관계자는 “이처럼 많은 임상 결과를 토대로 현재까지 총 9건의 마코로봇 인공관절수술 관련 국제논문(무릎8편, 고관절 1편)을 발표했으며, 이 중 6건은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SCIE급 저널에 게재되는 등 연구성과를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는 풍부한 임상 경험과 끊임없는 연구 노력을 기반으로 로봇 인공관절수술의 술기 발전에 기여한 결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많은 논문이 로봇 인공관절수술의 정확도와 안전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전했다.
대표적으로 <로봇 무릎인공관절 전치환술에서 윈위부 대퇴골 트래커 핀 배치를 통해 핀 트랙으로 인한 골절 예방> 제하의논문은 SCIE급 학술지인 슬관절 수술 저널(The Journal of Knee Surgery)에 게재됐다. 이 논문은 원위 대퇴골 내측 시상면에서 핀 추적기를 사용하는 수술기법이 골절, 감염, 허벅지 통증 등 핀과 관련된 합병증이 없어 로봇수술을 하는 외과의사들에게 유용한 선택지가 될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자체 개발해 특허받은 수술 기구의 효용성에 대한 논문도 발표했다. <뼈가 단단한 중년 환자의 로봇을 이용한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보완하는 수술 기법> 제하의 논문은 로봇 인공관절수술 시 정확한 뼈 절제에 도움이 되는 절삭기구 활용의 유용함을 소개한 것으로, SCIE급 국제 학술지인 맞춤 의학 저널(Journal of Personalized Medicine)에 게재됐다.
또한, 힘찬병원은 국내 최초로 마코로봇 고관절 인공관절수술에 대한 연구 논문을 SCIE급 국제 학술지에 발표하며 연구 영역을 무릎뿐만 아니라 고관절까지 확장했다. <로봇 보조 고관절 전치환술에서 다리 길이를 평가하는 지표로서 대퇴골 외측 상과의 유용성> 제하의 논문은 SCIE급 학술지인 임상의학저널(Journal of Clinical Medicine)에 게재됐다.
힘찬병원 백지훈 진료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마코로봇을 이용한 인공관절수술의 국내 최다 국제 논문 발표는 힘찬병원 의료진이 단순히 수술 집도를 넘어 로봇수술의 과학적 발전과 학문적 토대 마련을 위해 노력해온 성과물이다. 수많은 임상경험과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실을 맺은 논문들이 국내외 의료진에게 유용한 참고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와 임상 적용을 통해 정확하고 안전한 로봇 인공관절수술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힘찬병원은 2024년 2월 관절•척추치료에 관한 임상 논문 117편을 모아 ‘힘찬병원 의학논문집’을 발간한 바 있다.이 논문집에는 힘찬병원이 의료진의 연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자체 관절의학연구소를 설립한 2007년부터 2023년까지 SCIE급 저널에 실린 78편을 포함,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한 총 117편의 논문이 수록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