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5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환절기 관절 통증, 한방 통합치료로 해결 도움

 

일교차가 크게 벌어지는 환절기 날씨가 이어지면서 관절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늘고 있다. 기온이 떨어지면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관절 주변 근육과 인대가 경직되어 관절의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퇴행성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등 만성 관절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환절기만 되면 통증이 악화되어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겪는다.

 

관절은 온도와 기압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데, 특히 무릎, 어깨, 손목 등 자주 사용하는 관절에서 통증이 두드러진다. 환절기 관절 통증을 단순한 날씨 탓으로 여기고 방치하면, 관절 손상이 진행되어 만성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환절기에 발생하기 쉬운 질환중 하나는 퇴행성 관절염으로, 어깨 질환도 환절기에 주의해야 한다. 오십견(유착성 관절낭염)은 어깨관절을 둘러싼 관절낭에 염증이 생겨 유착되면서, 모든 방향으로 팔을 움직일 때 극심한 통증이 나타난다. 목과 허리 통증도 환절기에 악화되기 쉽다. 척추 질환은 기온이 떨어지면 근육이 긴장하고 혈액순환이 나빠져 통증이 심해진다. 손목터널증후군, 족저근막염 등도 환절기에 증상이 악화될 수 있는 대표적인 관절 질환이다.

 

 

생기가득 한방병원 엄지환 원장은 “한의학에서는 관절 통증을 '비증(痺證)'이라고 하며, 풍(風), 한(寒), 습(濕) 등의 외부 사기(邪氣)가 경락을 막아 기혈 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발생한다고 본다. 환절기는 특히 한기(寒氣)와 습기(濕氣)가 강해지는 시기로, 이러한 사기가 체내에 침입하면 관절 주변의 경락이 막혀 통증이 발생하거나 악화된다. 한의학에서는 관절 통증의 원인을 세분화하여 각각에 맞는 치료법을 적용한다. 개인의 체질과 증상에 따라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한방 치료의 강점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방에서는 침, 뜸, 부항, 약침, 한약, 추나요법 등 다양한 치료법을 통해 관절 통증을 관리한다. 침 치료는 경락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기혈 순환을 개선하여 통증을 완화한다. 특히 아시혈(통증이 있는 부위)과 경혈에 침을 놓아 즉각적인 통증 완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전했다.

 

엄지환 원장은 “부항 치료는 음압을 이용해 어혈을 제거하고 경락의 흐름을 개선하여 통증을 완화한다. 추나요법은 한의사가 손이나 신체 일부, 추나 테이블 등을 이용하여 척추나 관절에 유발된 기능적 문제를 치료하는 한방 수기요법이다. 틀어진 관절과 척추를 바로잡아 통증을 완화하고 신체 균형을 회복시킨다”고전했다.

 

환절기 관절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독감 예방접종도 중요하다. 독감에 걸리면 고열과 함께 전신 근육통, 관절통이 심하게 나타나며, 이는 기존의 관절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 올해는 독감 유행 시기가 예년보다 빨라져 10월 중순부터 독감 의심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독감 예방접종 후 충분한 항체가 형성되기까지 약 2주가 소요되므로, 본격적인 유행 시기 전에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엄지환 원장은 “환절기 관절 통증으로, 밤에 잠을 이루기 힘들거나, 관절이 심하게 붓고 열감이 강하게 느껴진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조기에 정확한 진단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면 충분히 증상이 호전될 수 있지만, 그대로 방치하면 관절 손상이 진행 될 수도 있다”고 전했다.

 

이어 “환자의 상태에 맞게 치료 후에도 재발 방지를 위한 운동법과 생활 관리 지침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환절기 관절 통증으로 고민하시는 분들은 통증이 심해지기 전에 병원을 방문하셔서 상담받길 바란다”고 전했다.

배너

포토이슈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