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6 (목)

  • 맑음동두천 15.3℃
  • 맑음강릉 16.7℃
  • 구름조금서울 16.7℃
  • 구름조금대전 16.6℃
  • 구름조금대구 18.2℃
  • 맑음울산 16.3℃
  • 구름많음광주 18.9℃
  • 구름많음부산 18.7℃
  • 구름조금고창 17.3℃
  • 구름조금제주 19.7℃
  • 구름조금강화 14.4℃
  • 구름조금보은 16.7℃
  • 구름조금금산 15.6℃
  • 구름많음강진군 18.7℃
  • 맑음경주시 16.8℃
  • 맑음거제 14.7℃
기상청 제공

[기자수첩] 포스코 장인화 체제, 올해만 6명 사망… 공허한 안전 말뿐 이제는 책임을 져야...

2024년 3월 21일, 장인화 회장이 포스코그룹 제10대 회장으로 취임했다. 그는 “안전과 기술 중심의 미래 포스코”를 약속하며 안전 혁신을 그룹 경영의 최우선 과제로 내세웠다.

 

그러나 취임 1년 8개월이 지난 지금, 그 약속은 공허한 선언으로 남았다. 장 회장이 ‘안전’을 말하는 동안, 포스코의 현장에서는 올해에만 여섯 명의 노동자가 목숨을 잃었다.

 

지난 11월 5일 오전, 경북 포항시 남구 포스코 포항제철소 스테인리스 압연부 소둔산세공장에서 정비 작업을 하던 포스코DX 협력업체 근로자 4명이 유해기체에 노출됐다.

 

이 중 50대 근로자 한 명은 이송 도중 숨졌고, 나머지 세 명은 화상을 입었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사고 발생 2시간 뒤에야 포스코 측이 소방당국에 신고했다는 점이다. “안전 최우선”을 내세운 조직에서 기본적인 대응 체계조차 작동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포스코가 여전히 위험을 관리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사고로 포스코그룹 내 올해 사망자는 6명째가 됐다. 1월 김해 아파트 신축 현장 추락사, 4월 광명 신안산선 붕괴, 대구 주상복합 추락사, 7월 의령 고속도로 공사 사망, 같은 달 광양제철소 구조물 붕괴, 그리고 이번 포항제철소 유해기체 사고까지. 현장은 바뀌지 않았고, 죽음은 반복됐다.

 

포스코홀딩스의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포스코 협력사 사망자 수는 6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2명, 2022년 1명에서 급증한 수치다. 장 회장 취임 이후 오히려 사망사고가 늘었다는 점에서 ‘안전 경영’의 실질적 성과는 의문이다. 보고서에는 “안전문화 혁신”과 “무재해 사업장 구현”이란 문구가 반복되지만, 현장의 현실은 정반대다.


전문가들은 그 원인을 포스코의 구조적 문제, 즉 ‘위험의 외주화’에서 찾는다. 김성희 산업노동정책연구소 소장은 “포스코는 위험한 공정을 협력사에 떠넘기고, 책임은 분산시키는 구조를 고착화했다”며 “이번 신고 지연 역시 책임 회피형 관리체계의 전형”이라고 지적했다. 장 회장이 출범시킨 ‘그룹 안전특별진단 TF’, 안전 전문 자회사 ‘포스코세이프티솔루션’, 글로벌 컨설팅사 SGS와의 협약 등은 결국 보여주기식 조치에 그쳤다는 비판이 잇따른다.


장인화 회장이 취임한 뒤, 포스코의 산업안전 지표는 개선되지 않았고 오히려 후퇴했다. 더 이상 “대책을 마련 중”이라는 변명으로는 설득력이 없다. 이제는 구호가 아니라, 책임으로 답해야 할 때다. 포스코가 진정으로 안전을 말하고 싶다면, 그 시작은 장인화 회장 자신이 되어야 한다.

배너

포토이슈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