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정진욱 국회의원 ( 광주 동남갑 /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은 7 일 “‘AI 시티 ’ 즉 ‘AI 특화시범도시 ’ 는 반드시 광주에서 추진해야 한다 ” 고 강조했다 .
정진욱 국회의원은 지난 7 일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김민석 국무총리를 상대로 한 종합정책질의를 통해 “ 국토교통부는 AI 대전환 (AX:AI Transformation) 에 발맞추어 세계 AI 시장을 선도하고 국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AI 시티 조성 ’ 을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 며 “‘AI 시티 ’ 사업은 한 도시가 완전히 AI 에 의해 운영될 수 있는지를 실증하는 사업으로 AI 인프라와 생태계가 탄탄하고 , 현재 대규모 실증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광주가 최적지 ” 라고 주장했다 .
정부는 AI 특화 시범도시 사업지 선정 및 사업계획 수립을 위한 예산 (40 억원 ) 을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편성한 바 있다 .
특히 , ‘AI 시티 ’ 사업 중 핵심사업인 ‘ 광주 AI 모빌리티 국가신도시 조성사업 ( 총사업비 1 조 5,000 억원 )’ 을 위한 기본 구상 용역비 20 억원 ( 국비 10 억 + 시비 10 억 ) 도 내년 예산안에 반영돼 사업 추진의 기본 동력은 마련돼 있는 상황이다 .
정진욱의원은 “‘ 광주 AI 모빌리티 국가신도시 조성사업 ’ 은 총사업비 1 조 5,000 억원을 들여 자율주행 차량 실증과 운행을 위한 교통체계와 AI 기반 도시 통합 관리 시스템 등의 첨단인프라가 구축된 미래형 신도시 조성을 목표로 추진될 예정이다 ” 면서 “ 이를 통해 AI 모빌리티 규제프리존을 형성하고 이와 연계한 미래차 첨단 부품산업 생태계를 조성한다 ” 고 설명했다 .
정진욱의원은 “‘AI 시티 ’ 사업이 광주에서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총리님께서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도와주시기 바란다 ” 고 요청했고 , 김민석 총리는 “ 광주가 AI 도시로 처음 관심 가지는 과정에 관여했기 때문에 잘 알고 있다 ” 고 답변했다 .
정진욱의원은 또한 “ 지난달 21 일 ‘ 국가 AI 컴퓨팅센터 ' 구축 후보지로 ‘ 전남 ’ 을 최종 선택한 민간 컨소시엄 ( 삼성 SDS 등 ) 의 결정에 따라 광주시민들께서 크게 우려하고 걱정하고 계시는 상황을 잘 알고 있느냐 ” 고 김 총리에게 물었고 김 총리는 “ 알고 있다 ” 고 답변했다 .
정의원은 특히 “ 지금 광주시민들은 상실감 속에서도 정부에 대한 신뢰와 기대를 져버리지 않고 , 정부가 광주를 위한 후속대책들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 면서 “ 정부가 ▲ 국산 NPU 경쟁력 강화를 위한 ‘ 국가 NPU 전용 컴퓨팅센터 ’( 총사업비 1 조원 ) 와 ▲ ‘ 국가 AI 연구소 ’( 총사업비 6 천억원 ) 를 광주에 설립할 수 있도록 총리가 적극 도와달라 ” 고 요청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