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농가들이 미허가 축사 적법화 시설투자로 인해 호당 평균부채가 3억6700만원으로 지난해보다 3천만원 증가했다. 고령화에도 불구하고 현재 후계자가 있는 농가는 32.9%에 그쳤으며 앞으로의 낙농전망에 대해 92.3%에 달하는 대다수의 농가가 “어렵다”고 답해 시장을 비관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낙농육우협회 낙농정책연구소(소장 조석진)는 최근 발표한 ‘2019 낙농경영실태조사’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현재 경영주의 연령분포는 40대(12.6%), 50대(30.4%), 60대(40.7%), 70대 이상(6.0%) 등으로, 50대와 60대가 주축을 이루고 있으며, 60~70대 이상 경영주는 2015년 34.2%에서 2019년 46.7%로, 경영주의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와같은 경영주의 고령화에도 불구하고 후계자의 유무를 묻는 질문에는 ▲후계자가 있다(32.9%), ▲아직은 없으나, 육성계획은 있다(24.8%), ▲후계자도 없고, 육성계획도 없다(26.6%)와 같이 나타나, ‘후계자가 있다’고 응답한 농가의 비율이 2018년(38.6%)보다 감소했다. 호당 평균부채액은 3억676만원으로, 2018년 대비 3600만원이 늘어,
한국낙농육우협회 낙농정책연구소(소장 조석진)는24일 홍영재장수청국장 회의실에서 2015년도 제1차 연구위원회를 개최했다.이날 회의로공식 출범을 한낙농정책연구소 연구위원회는 분야별 학계전문가로 구성, 앞으로 낙농정책연구소 연구조사 활동 및 정책개발 전반에 대한 자문을 실시할 계획이다.이날 연구위원회에서는 낙농산업 동향 및 정책과제, 낙농정책연구소 활동, 연구위원회 구성·운영 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을 가졌다.연구위원들은 “대학에서 축산, 낙농문제를 연구하는 학자가 계속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낙농정책연구소가 시의 적절하게 연구위원회를 구성하였다”며 환영하면서, 낙농정책연구소의 연구과제 발굴과 연구 수행에 적극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한편, 낙농정책연구소 조석진 소장은 “FTA, 환경규제, 안티우유 확산 등 낙농을 둘러싼 환경은 날로 악화되고 있다”라고 우려를 표명하고, “앞으로 연구위원회를 활성화하여 낙농분야 연구 활동에 학계의 중지를 모아나가겠다”라고 밝혔다.■연구위원회 구성 현황(전공분야) : 충남대 박종수 명예교수(낙농경영), 공주대 김선효 교수(식품영양), 건국대 이홍구 교수(동물영양생리), 한경대 장경만 교수(축산경영), 영남대 장재봉 교수(농업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