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대 트루스포럼에서 제기된 대자보의 선거부정 논란은 우리 사회에 중요한 화두를 던지고 있습니다. 특히 2002년 전자개표기 도입 이후 지속적으로 제기된 부정선거 의혹은 공정한 선거 과정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기술적인 문제가 아닌, 국민의 민주적 권리와 직결된 문제입니다. 2014년 지방선거부터 전면 도입된 사전투표 시스템은 이번 논란의 중심에 서 있습니다. 사전투표는 본래 유권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제도였지만, 일부에서는 이를 부정선거의 가능성이 높은 시스템으로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의혹을 해소하지 않는다면, 국민의 선거 참여도와 민주주의에 대한 신뢰는 계속해서 낮아질 것입니다. 정부와 선거관리위원회는 이러한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투명하고 공정한 선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합니다. 특히 전자개표기와 사전투표 시스템의 보안과 공정성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독립적인 전문가들로 구성된 검증 기구를 운영하고, 모든 절차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합니다. 국민의 검증권 보장은 단순한 감시 역할을 넘어, 민주주의의 건강한 작동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선거 과정의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부정선거 의혹으로 인해 깊은 위기에 처해 있다. 최근 부산, 대구, 대전에서 연이어 열린 부정선거 규탄 집회는 시민들의 뜨거운 분노를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국민들의 목소리에도 불구하고 정치권과 종교계, 지식인 사회는 침묵을 지키고 있다. 왜 우리는 이 중요한 문제에 대해 침묵하고 있는가? 부정선거 의혹은 단순한 음모론이 아니다. 부산 금정구에서 본 투표에서 0표가 나왔던 지역을 자유통일당이 실시한 자체 전수조사 결과는 10표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사례는 전국 각지에서 보고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실수나 오해로 치부할 수 없는 명백한 증거들이다. 그런데도 여당과 야당, 그리고 이 시대의 지식인과 종교계는 왜 침묵하는가? 전광훈 목사는 “국민의 주권을 도둑질한 자들을 반드시 차단해야 한다”고 강하게 외쳤다. 그러나 그의 목소리는 여전히 공허하게 들린다. 왜냐하면 정치권과 지식인 사회는 이 문제에 대해 어떤 대응도 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심각한 문제이다. 자유통일당만이 부정선거를 외치고 있다. 그러나 이 외침이 널리 퍼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왜 한국 교회는 침묵하고 있는가? 이들의 침묵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