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축산분야 재해 대응계획’ 추진 전국 9개권역 가축 사양관리 기술·축사관리요령 컨설팅 선풍기 등 냉방장비, 축사시설현대화사업으로 우선 지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폭염, 태풍, 집중 호우 등 여름철 재해로 인한 축산분야 피해 최소화를 위해 ‘2020년 축산분야 재해 대응계획’을 마련해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매년 여름철 폭염과 무더위로 인해 가축폐사와 생산성 저하 등으로 축산분야에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으며, 장마와 태풍으로 인한 축사시설 파손과 침수 피해도 발생하고 있다. 특히, 기상청에 따르면 올 여름은 평균 기온이 작년보다 높고, 폭염 발생일수도 전년(13.3일)의 2배인 20~25일로 전망되는 등 극심한 더위가 예고되고 있어, 축산분야 재해 예방을 위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농식품부는 이번 여름철 폭염 등 재해피해 최소화를 위해 폭염 등 기상 정보와 피해예방을 위한 사전 조치요령 등을 농가에 제공하는 한편, 농촌진흥청 주관으로 지자체와 협조해 여름철 재해에 대비한 축사환경 관리 현장 기술지원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지난 5월에는 축산농가 대상으로 폭염 대비 가축 및 축사 관리요령을 담은 리플릿과 책자를 배포했으며,
소, 흑설탕 100g 정도 사료와 함께 먹이고 시원한 물 공급 돼지·닭, 상대적으로 온도 낮은 새벽과 저녁에 사료 급여 고온스트레스 도움되는 비테인·유기산제 등 급여 도움 농협(회장 이성희) 경제지주는 올 여름철 기온이 예년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혹서기 폭염으로 가축의 생산성 저하 및 폐사 등 축산농가의 피해 발생이 우려돼 ‘여름철 폭염 대비 가축·축사관리 요령’을 일선 농·축협과 축산농가에 당부했다. 이번 관리요령의 주요 내용으로는 여름철에는 축사 내부의 온도가 쉽게 올라가기 때문에 ▲대형선풍기나 송풍팬 등을 이용하여 덥고 습한 공기를 축사 밖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환기조치를 해주고, ▲축사 지붕을 차광막으로 덮어 과다한 복사열을 차단하고, ▲스프링클러나 점적관수시스템 설치로 축사 내부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축종별 주요 특성에 따라 ▲소는 더위로 사료섭취량이 저하되면 흑설탕 100g 정도를 사료급여 시에 함께 급여하고 시원한 물(15~24℃)을 충분히 마실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하며, ▲돼지와 닭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새벽과 저녁에 사료를 집중 급여, ▲고온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비테인, 유기산제,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