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김춘진)와 용인시(시장 백군기)는 23일 용인시청에서 저탄소 식생활 확산 및 화훼산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저탄소 식생활 ‘코리아 그린푸드 데이 캠페인’ 확산 ▲로컬푸드 공급·소비 기반 강화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기후위기 인식 개선과 탄소중립 생활 실천 촉진을 위한 협력 ▲화훼농가 소득증대와 화훼산업 활성화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코리아 그린푸드 데이’는 우리 모두와 미래세대를 위해 먹거리의 생산유통소비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 ‘농장에서 식탁까지 Net Zero(탄소중립)’를 실천하는 저탄소 식생활 캠페인으로, 공사는 지난해 선포식 이후 52개 지자체·교육청·협회 등과 업무협약을 맺고 대국민 캠페인 확산에 적극 나서고 있다. 또한, 로컬푸드·푸드플랜 활성화 정책을 지원하는 공사와 로컬푸드 확산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는 용인시가 협업하여 지역 먹거리 선순환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힘을 합칠 계획이다. 특히, 공사는 용인시 남사화훼단지의 수도권 접근 용이성과 화훼농가 시설원예 현대화 사업으로 향상된 고품질 재배 기술, 신품종 출하 등 화훼 트렌드를 선
경기도 내에서도 용인은 위치와 교통을 생각한다면 지역 발전이 더 진행됐어야 한다. 지금보다 더 많은 대학이나 시설을 유치할 수 있는 여건을 가지고 있지만 의외로 급하지 않는 상황이 아닌가 싶다. 이번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과 경기주택도시공사 이전을 두고 벌어진 경쟁에서 용인이 탈락한 것을 보면 이러한 고배가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의문이 든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나 경기주택도시공사는 경기도 내에서도 다양한 지자체에서 이전을 노렸을 정도로 경쟁이 치열했다. 특히 11개 시군이 공모에 참여하면서 뜨거운 관심사를 보였다. 하지만 결과는 1차 경쟁에서조차 통과하지 못했다는 점은 깊이 새겨봐야 한다. 경기도 내에서도 용인시는 꾸준한 경제 발전을 하고 있는 곳으로 알려졌다. 특히 도내 GDP를 상당부분 책임지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자부심을 갖고 있는 것은 시민이라면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 만큼 용인 발전을 위해 노력했던 결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음 먹거리를 위한 움직임은 무척 더디게 느껴진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나 경기주택도시공사는 한 번 이전을 하게 된다면 꾸준한 경제 효과를 가지고 올 공공기관이다. 특히 용인 내 발전하지 못한 지역을 찾아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