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19 (화)

  • 구름조금동두천 5.9℃
  • 구름많음강릉 6.3℃
  • 구름조금서울 6.9℃
  • 구름많음대전 6.0℃
  • 맑음대구 10.7℃
  • 맑음울산 11.4℃
  • 황사광주 7.0℃
  • 맑음부산 12.0℃
  • 구름조금고창 5.7℃
  • 황사제주 10.8℃
  • 구름조금강화 5.3℃
  • 맑음보은 6.2℃
  • 구름조금금산 5.7℃
  • 맑음강진군 8.1℃
  • 맑음경주시 11.3℃
  • 맑음거제 11.2℃
기상청 제공

‘신토불이’…우리 소에게는 우리 사료용 벼가 최고

농진청, 한우·젖소 사료용 벼 급여사육시험 결과 발표
한우 일당증체량 증가·알파-토코페롤 함량 늘고 젖소 우유 생산량 증가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국내 최초로 ‘서울대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김종근 교수 팀-산청군기술센터’ 및 ‘서울대 농생명공학부 김현진 박사-당진낙협’과 공동으로 진행한 한우와 젖소의 사료용 벼 급여 사육시험에서 사료용 벼의 효과를 확인했다.

사료용 벼는 쌀 수급 안정 및 국내 조사료 자급률 향상을 위해 재배면적이 확대되고 있는 작목이다. 그러나 실제 가축에게 먹였을 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된 바가 없어, 그 효과에 대한 재배·축산 농가의 의문 및 문의가 있어져 온 것에 대한 해답을 내놨다.

‘신토불이’. 우리 소에게도 우리땅에서 자란 사료용 벼가 체중이 늘거나 일당증체량이 증가하는 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과학적으로 입증됐다.

사료용 벼 ‘영우’ 품종이 포함된 섬유질배합사료[TMR(Total Mixed Ration), 가축이 하루 동안 섭취해야 할 영양소를 한데 섞어 만든 사료]를 먹였을 때 수입 조사료가 포함된 사료를 먹인 대조구에 비해 한우는 체중이 5%, 일당증체량(하루 동안 증가된 체중)이 18% 증가했으며, 기능성분인 알파-토코페롤 함량이 1.8배 높았다. 

젖소의 경우 우유 생산량이 10%, 임신율이 17% 늘었으며, 체세포수가 27.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시험 결과로 농가는 안심하고 사료용 벼를 재배 및 이용해 안정적인 소득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됐으며, 국민은 고품질의 한우와 우유를 섭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우 사육 시험은 약 30개월간 경남 산청 농가에서 진행됐으며, 평균 8.5개월 된 한우 송아지를 대조구와 급여구로 각 8두씩 나눠 체중, 일당증체량, 육질·육량비율 및 기능성분을 비교, 평가했다.

그 결과 대조구에 비해 급여구의 체중이 39㎏(726kg→765kg), 일당증체량이 0.12kg(0.66㎏→0.78kg) 증가했다. 1등급 이상 육질등급 비율은 급여구가 75%로 거세우 전국 평균 88.1%보다는 낮았지만, B등급 이상 육량등급(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도체의 중량을 측정)의 비율은 75%로 거세우 전국 평균 65.6%보다 높았다. 

채끝 부위에 함유된 기능성분인 알파-토코페롤 함량은 100g당 53.5μg으로 대조구 28.9μg보다 1.8배 높아 산화 억제로 인한  고기의 갈변화를 늦추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젖소 사육시험은 약 9개월간 충남 당진낙농축협 시범농가 2개소에서 진행됐으며, 젖소 54두에게 사료용 벼 ‘목양’이 4% 포함된 사료를 급여해 우유 생산량 및 임신율, 체세포수를 비교, 평가했다.

그 결과 급여 전에 비해 하루 평균 우유 생산량이 2.7kg(27.7kg→30.4kg), 임신율이 17%(49.7%→67.1%) 증가했으며, 특히 젖소의 건강상태를 알려주는 원유의 위생등급 기준인 체세포수가 평균 27.7% 감소한 149(천cell/㎖)로 나타나 1등급 우유의 체세포수 기준(20만 미만)을 충족시켰다. 

외화 절감 효과 및 국내 조사료 자급률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한우의 경우 하루에 두당 15㎏의 섬유질배합사료를 먹일 때 이 중 사료용 벼가 15% 포함된 섬유질배합사료로 바꿀 경우 15%에 해당하는 2.25㎏의 수입조사료를 대체할 수 있으며 24개월 급여 시에는 1.6톤의 양을 절감할 수 있다. 
2019년 논 타작물 재배 면적 목표인 5만ha에서 사료용 벼를 재배하면 약 50만 톤의 양질 조사료가 생산되어 2017년 기준 수입되는 조사료 103만8천 톤의 48%를 대체할 수 있으며 약 1,700억 원의 외화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017년 82%인 국내조사료 자급률을 91%까지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과 안억근 농업연구사는 “이번 연구는 앞으로 사료용 벼 보급 및 확대의 기반이 될 것이며 쌀 수급조절 효과와 수입사료 대체를 통한 조사료 자급률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다.”라며, “앞으로 수량성, 발효적성, 간척지 적응성 등이 향상된 새로운 품종을 개발해 사료용 벼의 가치를 높이도록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관련기사

포토이슈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