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한우

지난해 1인당 소고기 소비, 미국산이 국산육 앞질렀다

2021년 수입량 45만 2,812톤…전년비 7.9% 증가 ‘사상 최고치’
한우정책연구소, 농가경영 안정 적극적인 정책 대응 필요

지난해 국내 소고기 시장은 미국산 수입소고기 우위 시장으로 빠르게 전환, 1인당 소고기 소비량에서 미국산이 국산육을 처음으로 초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021년 우리나라 소고기 수입량은 45만 2,812톤으로 전년대비 7.9% 증가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냉장 소고기는 11만 9,379톤(전년대비 22% 증가), 냉동 소고기는 33만 3,433톤(전년대비 3.7% 증가)으로 모두 전년 대비 수입량이 증가, 냉장육 비중은 20년 23.3%에서 26.4%로 3.1%p 높아졌다.

 

수입국별로는 미국이 25만 4,873톤(11.5% 증가), 호주가 16만 136톤(1.2% 증가), 뉴질랜드가 1만 7,629톤(0.2% 감소)으로 미국과 호주 2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91.7%를 차지했으며, 증가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캐나다로 20년 6,033톤에서 21년 1만 1,428톤으로 전년대비 5,395톤(89.4%)이 증가했다. 
캐나다산의 두드러진 전년대비 부위별 증가율을 보면, 냉장육 등심이 73.6%(30톤), 냉동육 갈비가 42.5%(1,937톤) 늘어났다.


2003년 미국에서의 광우병 발생 이후, 지금까지 호주가 최대의 수입국이었지만, 12년에 발효된 한미 FTA의 훈풍에도 힘입어 관세와 긴급수입제한조치 기준물량 등, 호주보다 유리한 협상결과를 활용, 수입량을 크게 늘려 현재는 미국이 최대 수입국의 위치를 차지했다.


2012년 한미 FTA 발효이후 2026년 관세제로가 예정되어 있으며, 21년 관세율은 13%로 호주산 관세율 18.6%보다 5.6%가 낮게 적용됐다.


아울러 2021년 수입물량 25만 5천톤은, 21년 미국산 긴급수입제한조치 기준물량은 32만 4천톤 대비 약 8할 수준으로 충분한 여유가 있다.


­ 한편 경쟁국 호주산에 대해서는 21년 11월 22일자로 긴급수입제한조치(기준물량17만 7,569톤) 발동으로 30%의 특별관세가 부과된 바 있다.
 

소득 향상에 따른 소고기 소비량 증가, 특히 스테이크 등 구이용 문화가 주목받고 있는 점도 소고기 수입량의 증가에 기여한 한 원인으로 분석된다. 수입증가는 등심, 안심, 채끝 등 구이용 수입이 두드러진데, 21년 미국산 냉장육 구이용 수입량은 21년 1만 4,926톤으로 전년대비 30% 증가했으며, 부위별로는 안심이 87%, 채끝이 65%, 등심은 23% 증가했다.


이와함께 대형마트와 편의점, 온라인 판매 등에서 스테이크용 소고기, 야채, 버터, 소스, 일회용 포크 등을 포함한 밀키트 상품의 판매확산도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21년 1인당 소고기 소비량 13.6kg중에서 제일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미국산이 5kg으로 국산육 4.8kg보다 0.2kg, 한우고기 4.4kg보다 0.6kg이 많은 수준이다. 국산육에서 한우고기는 20년 4.2kg에서 21년 4.4kg으로 4.8%(0.2kg) 증가한 반면, 육우고기는 0.6kg에서 0.4kg으로 33.3%(0.2kg)가 감소했다. 

 

한편 미국산은 20년 4.4kg에서 21년 5kg으로 13.6%(0.6kg)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한우협회 한우정책연구소는 “결과적으로 국내 소고기 시장은 미국산 수입소고기 우위 시장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더 이상의 자급률 하락을 허용한다면 한우고기의 설자리도 위협을 받을 수 있는 마지노선 국면에 처해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국내 소고기 시장에서 한우를 중심으로 한 국산육의 지위를 되찾기 위해서는, 품질 및 안전성 제고 등과 함께 생산기반 유지와 농가경영 안정에 더욱 적극적인 정책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관련기사

포토이슈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